
소방관, 소방차
소방관 소방차. 서울신문DB
올해 전북지역에서 64초마다 119 신고 전화가 울린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봄철 건조한 날씨에 화재가 잇따르며 화재 출동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었다.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는 2025년 1분기(1~3월) 동안 119종합상황실에 접수된 신고 및 현장 출동 통계를 집계한 결과 총 12만 1682건, 하루 평균 1352건의 신고가 접수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1만 2346건)보다 7.8% 증가한 수치다.
119 신고 중 화재 출동은 3445건으로, 전년도 2791건보다 23.4% 증가했다. 임야화재가 172건에서 305건으로 77.3% 급증한 결과다. 봄철 강수량 부족, 잦은 건조특보 발효, 강풍 등 불리한 기상 여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논·밭두렁 태우기와 폐농자재, 쓰레기 소각 과정에서 발생한 불씨가 산림이나 초지로 번지며 화재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현장 출동을 수반하지 않는 오접속·무응답 신고도 2만 8478건으로 2024년(2만 6443건)보다 7.7% 늘었다. 반면 구조 출동은 4216건으로 지난해(4640건) 대비 9.1% 줄었다. 구급 출동은 2만 5583건으로 지난해(2만 5577건) 수준을 유지했다.
소방본부는 임야화재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건조한 날씨와 부주의한 소각 행위를 꼽으며, 도민들의 철저한 예방 수칙 준수를 강조했다.
이오숙 전북소방본부장은 “화재 예방은 도민 여러분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논·밭두렁이나 쓰레기 소각 행위는 자제해주시고, 화재 발생 시에는 곧바로 119로 신고해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