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수성구 만촌동의 육군 제2작전사령부 자리에 들어설 ‘종합의료클러스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도심 군부대 이전 터에 첨단 의료 클러스터와 국제금융지구를 조성한다.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특별법 제정과 국정과제 반영도 추진키로 했다. 지난 3월 군부대 통합이전 사업 대상지로 군위군이 최종 선정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20일 대구시에 따르면 전날(19일) 시청 산격청사에서 홍성주 경제부시장 주재로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 추진단’의 첫 기획 회의를 열고 개발 방안 논의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서는 군부대 이전 후 남겨질 부지 개발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정부 국책사업과 연계한 사업을 추진하거나 민간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사업의 현실성을 높이자는 목소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군부대 이전 터 개발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보고 있다. 이전 대상인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방공포병학교, 제1미사일여단이 수성구 등 주요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서다.

지난 19일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홍성주 경제부시장 주재로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 추진단’ 첫 기획 회의가 열렸다. 대구시 제공
앞서 대구시는 수성구 만촌동의 제2작전사령부 이전 터는 병원 중심의 종합의료클러스터로, 제5군수지원사령부 터는 군공항(K2) 이전 터 개발과 연계해 국제금융지구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또 방공포병학교와 제1미사일여단 이전 터에는 미래형 국제교육 중심 지구를 조성하고, 제50보병사단 터는 대구경북신공항과 연계한 첨단산업단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군부대 통합이전을 마무리하고 이전 터 개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전문용역을 통해 맞춤형 개발전략을 세우고 경제적 타당성, 제도적 쟁점, 투자유치 방안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로 했다. 군부대 이전 터 개발과 관련한 규제 완화, 제도개선을 위한 특별법 제정도 검토할 방침이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은 대구 도심 재편과 미래 전략사업을 연계할 수 있는 중대한 과제”라며 “국군부대 후적지 개발 추진단 협업 체계를 통해 실행력 있는 계획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