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및 별도 공공 앱 설치 사용 불편 완화
공공서비스와 민간 개발 앱을 연계 첫 사례

대전시가 운영하는 사랑나눔콜 차량. 대전시
대전의 교통약자 이동지원 서비스인 ‘사랑나눔콜’이 카카오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됐다.
대전시는 26일 사랑나눔콜을 카카오T 앱에서 바로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사랑나눔콜은 몸이 불편하거나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위해 지자체가 도입한 차량 지원 서비스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전화를 걸거나 별도 공공 앱을 설치해야 했다.
이번 서비스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운영하는 ‘국민 체감형 민간 혁신 프로젝트’로 추진됐다.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방식으로 인터넷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기존 시스템을 변경하거나 추가 앱 설치 등 없이 빠른 서비스가 가능하다. 카카오T 앱 연계에 따라 이용자의 이용 편의 및 접근성 개선이 기대된다.
대전시는 호출 서비스뿐 아니라 교통 약자의 이동권을 확대하기 위해 차량과 차고지 확충 등 인프라를 강화하고, 시민 의견을 수렴해 서비스를 개선할 계획이다.
이승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인공지능·플랫폼혁신국장은 “사랑나눔콜은 공공 서비스와 민간 앱을 연계한 첫 사례로 다른 지역에서도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교통 약자가 걱정 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속해 개선책을 발굴 시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