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1일 6차 교섭 후 파업 재논의
노사 임금 협상 입장차…향후 파업 가능성도

대구 시내버스. 뉴시스
전국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동시다발적인 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대구 시내버스 노조는 파업 참여 보류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대구지역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될 예정이다. 다만, 노사 임금 협상 과정에서 양측이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향후 파업 가능성도 있는 상태다.
27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시버스노조 등에 따르면 대구 시내버스 노사 임금·단체협약(임단협) 6차 교섭이 다음 달 11일 열린다.
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이미 교섭을 9차례 가진 데 비하면 교섭 횟수가 더딘 편이다. 대구시 버스 운송 사업 조합(사측) 이사장 선출 등 집행부 구성이 늦어진 데 따른 여파다. 이에 노조 측은 사전 교섭이 충분하지 않다며 이번 공동 파업에는 불참키로 했다. 향후 사측과 교섭을 추가로 가진 후 파업 참여를 검토할 방침이다.
하지만, 대구 시내버스 노사는 앞서 5차례 열린 교섭에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 측은 평균 시급(1만1935원) 8.2% 인상과 정년을 만 63세에서 65세로 연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사측은 임금 동결과 정년 연장 불가 입장을 내며 맞섰다.
교섭에는 대구 시내버스 업체 26곳 중 22곳이 참여하고 있다. 만약, 노조가 파업에 들어가면 교통대란이 현실화 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노조 관계자는 “7∼8차 교섭까지 가진 후 협의가 안 되면 경북지방노동위에 조정을 신청할 예정”이라며 “파업 여부는 조정 진행 상황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측 관계자는 “임금 개편이 우선돼야 한다. 지난해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임금 자연 상승분이 있는데 이걸 먼저 해결해야 시급 인상을 논의할 수 있다”면서 “다른 지역 교섭 상황도 검토해 대응 방향을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