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청정 천연가스 안정적 공급과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29일 가스공사에 따르면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발맞춰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0% 감축한다는 ‘KOGAS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설비운영 효율화 ▲저탄소 사업 추진 ▲환경오염물질 배출 강화 등의 구체적인 실행전략을 마련했다.
저탄소 LNG 사업 추진… 여의도 26배 면적 숲과 맞먹는 효과가스공사는 ‘저탄소 LNG 확보를 위한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신규 LNG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약 29만t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것을 장기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LNG 캐나다 사업에서 탄소저감 설비를 구축해 올해 연간 4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을 시작으로 향후 매년 최대 8만t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26배에 달하는 숲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와 맞먹는 수준이다.
이미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생산·운영 중인 2개 LNG 사업에서 2023년 대비 약 15만t의 탄소배출저감 실적을 달성했다. 모잠비크 ‘Coral Ⅰ FLNG’ 및 호주 ‘Prelude FLNG’에서 디젤발전기 사용 제한, 소각가스 최소화 등 설비 최적화를 통한 운영 안정화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각각 약 9만t, 6만t을 감축했다.
천연수소·e-메탄 등의 차세대 에너지 기술 선점 나선다가스공사는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신에너지 확보와 관련 기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인 천연수소를 개발하기 위해 국내 천연수소 생성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부존 가능성을 분석하는 연구 과제를 수행 중이다. 천연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해 만드는 그린수소와는 달리, 지구 내부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수소로, 전 세계에 약 5조t 규모가 매장돼 있다. 천연수소가 발견되면 시추를 통해 대규모의 수소를 경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탄소중립시대를 견인하는 핵심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가스공사는 탄소중립을 위한 ‘e-메탄’ 제조 상용화 기술개발에도 적극 뛰어들고 있다. e-메탄은 이산화탄소와 그린수소로부터 합성된 메탄으로, 탄소중립연료 중 하나다. e-메탄 연소 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다시 e-메탄을 합성하면, 반복된 사용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해진다. 최근 일본이 2050년까지 도시가스의 90%를 e-메탄으로 대체할 것이라고 발표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e-메탄 연구개발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가스공사는 e-메탄 제조 상용화 기술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이끌어 간다는 계획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에너지 전환이 급속도로 이뤄지는 환경에서 가스공사는 다양한 노력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하는 대한민국 대표 친환경 에너지 공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