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8일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활용이 검토 중인 전주월드컵경기장과 전주시 덕진구 장동 일원에 조성 중인 복합스포츠타운 현장을 방문해 시설을 직접 점검하고, 유치 전략 구체화를 주문했다. 전북도 제공
‘2036 올림픽’ 개최를 노리는 전북도가 개폐회식 메인 스타디움이 될 전주월드컵경기장 증축을 추진한다.
전북도는 올림픽 유치를 위해 전주월드컵경기장 리모델링과 관람석 증축을 검토 중이라고 29일 밝혔다.
전주월드컵경기장은 지난 2002년 월드컵을 위해 건설됐다.
전주의 대표적인 체육시설이자 유일한 대형 경기장으로, 하계올림픽 개최 시 전북도는 이곳을 개·폐회식 및 축구 결승전 장소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현재 3만 5000석 규모의 관람석은 올림픽 기준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준공된 지 20년이 지나면서 노후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보수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전북도와 전주시는 월드컵경기장 관중석을 최소 1만 5000석 이상 증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경기장 사각(솟대를 상징하는 기둥 인근) 빈 공간에 관중석을 설치하거나 현재 2층 구조에서 3층으로 증축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한 사업비만 12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전주 복합스포츠타운에 건설 중인 야구장과 육상경기장 조감도. 전주시 제공
아울러 전북도와 전주시는 2026년부터 2033년까지 8년간 총 6843억원을 투입해 복합스포츠타운도 조성 중이다.
64만 7000㎡ 규모의 부지에 육상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국제수영장, 스포츠가치센터, 실외체육시설, 주차장 등이 단계적으로 들어설 예정이다.
육상경기장과 야구장은 공정률 40%를 기록하고 있고, 실내체육관은 올해 착공해 10%의 공정률을 보인다. 관람객 편의를 위한 1500면 규모의 지하·지상 주차장도 2029년부터 조성될 예정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올림픽 개최를 위해선 개·폐회식을 진행할 주 경기장이 필요하다”면서 “IOC실사에 대비해 계획안을 마련 중이고 증축은 올림픽이 결정되면 그 이후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