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가능한 농업과 순환 경제 실현 기대

배즙을 짜고 나온 배 착즙 박. 충남도 제공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연간 폐기되는 500만t의 농산부산물을 활용하기 위한 자원화 사업에 나선다.
충남도 농업기술원 13일 폐기 처리되는농산부산물의 자원화 및 산업화를 위한 ‘Eco-순환 기술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최근 농산부산물이 섬유·패션, 화장품, 생활 소재 등 고부가가치 산업 원료로 활용 가능성이 조명되고 있다. 배즙을 짜고 나오는 배 착즙 박은 미세플라스틱 대체 원료 및 세안제 상품 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됐다.
이번 연구는 2029년까지 5년간 국립식량과학원과 전국 8개 도 농업기술원이 참여해 공동으로 진행한다.
매년 어마어마한 양의 농산부산물이 발생하고 있지만 원료 표준화가 미흡하고 안정적인 공급체계 부재, 지역 간 수급 불균형 등으로 산업적 활용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거 및 전처리 기술의 표준화와 안정적인 원료 공급 체계 등을 구축해 스타트업 등 다양한 산업체가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내 농식품 부산물의 연간 폐기량은 2019년 기준 약 500만t에 달하고 처리비용으로 매년 8000억원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소연 충남도 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연구사는 “농산부산물이 지역의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농업과 순환 경제 실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