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강원 삼척에서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산불 피해

산림청이 이례적으로 8월에 산불위험예보를 발령했다. 산림청 제공
여름인 8월에 이례적으로 ‘산불위험예보’가 발령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은 29일 여름철 가뭄이 지속되면서 산불이 빈발하고 있는 강원 영동지역에 국가 산불 위기 경보 ‘관심’ 단계 발령 및 헬기 등 진화 역량 강화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25일 강원 삼척에서는 산불이 발생해 1987년 산불 통계 작성 이래 최대 피해(33.5㏊)를 기록하는 등 여름철 산불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날 오후 3시 59분쯤 경북 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산5-1 일원에서도 산불이 발생했다.
이날 여름철 산불 대응을 위한 긴급 관계관 회의를 개최한 산림청은 지방산림청과 산림항공본부, 국립산림과학원 등 기관별로 가용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을 점검하고 효율적인 운용 방안과 산불 대응 방향을 논의하고 산불 발생 위험이 큰 지역에 진화 헬기와 진화 차량을 이동 배치하는 등 조기 진화를 위한 대응 대응 체계를 구축도록 했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여름철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산불방지 인력과 진화 헬기를 운영하지 않아 산림청이 보유한 인력·자원만으로 산불에 대응할 수밖에 없다”며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전략적으로 배치해 산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막는 데 주력하겠다”라고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