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자 재혼’ 꾸준히 증가
“배우자 관계에 만족” 응답 되레 늘어

이혼 관련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고령인구 증가와 전통적 가족관 약화로 황혼이혼이 큰 폭으로 늘었다. 또 명절 연휴 전후로 이혼 건수가 급증하는 ‘명절 후폭풍’도 확인됐다.
6일 국가데이터처의 ‘2025년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남자와 여자의 이혼 건수는 전년보다 각각 8.0%, 13.2% 늘었다. 전체 이혼 건수가 1.3%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고령자 이혼 건수는 2022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하다가 3년 만에 다시 증가 전환했다. 전체 이혼 건수에서 고령자 남성과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1.8%, 7.3%였다.
황혼 재혼도 늘었다. 고령자의 재혼은 남자가 3896건, 여자가 2430건으로 각각 6.4%, 15.1% 증가했다. 이 역시 전체 재혼 건수는 남성과 여성이 각각 1.0%, 2.6% 줄어든 것과는 상반된 흐름이다. 고령인구가 늘고, 이혼은 가족관계의 실패라고 여기던 인식이 옅어지면서 황혼이혼과 재혼이 동시에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51만 4000명으로 전체 인구 중 고령인구 비율(20.3%)이 처음으로 20%를 넘어섰다.
가족관계 선택이 자율적으로 이뤄지면서 고령자의 ‘배우자 관계 만족도’는 높아졌다. 고령자의 70.3%는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년 전보다 5.4% 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75.5%, 여자는 63.9%가 만족해 부인보다 남편의 만족도가 11.6% 포인트 높았다. 반면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9%로 2년 전 조사(6.8%)보다 감소했다.
추석·설 지나면 이혼 건수 ‘껑충’

재판 그래픽. 서울신문DB
추석이나 설 명절 전후로도 이혼이 급증했다. 2010년대 들어 2019년까지 추석 다음 달인 10월(2017년은 11월)에는 전월 대비 이혼 건수가 대부분 늘었다. 2011년과 2016년, 2017년만 예외였다. 2019년 9월 이혼 건수는 9010건이었지만, 추석 연휴가 지나고 난 10월에는 9859건으로 9.4% 불었다. 2018년엔 9월 7826건이었던 이혼 건수는 10월 1만 548건으로 34.9%나 급증했다.
설 연휴에도 같은 흐름이다. 2015~2019년 설이 있는 1~2월이 직후인 3~5월에 이혼이 평균 11.5% 증가했다. 한 이혼 전문 변호사는 “명절을 전후해 들어오는 이혼 상담이 평소보다 크게 늘어난다”며 “명절 준비 부담이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 집중되고, 배우자가 이를 조율하지 못하면서 불만이 폭발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