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대 수시 평균 경쟁률 18대1…작년보다 소폭 하락

주요대 수시 평균 경쟁률 18대1…작년보다 소폭 하락

입력 2013-09-15 00:00
수정 2013-09-15 1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컬 관련 학과·의예과 여전히 강세

2014학년도 수시 1차 원서접수를 지난 13일 마감한 결과 수도권 주요 26개 대학의 평균 경쟁률은 18.30대 1로 집계됐다. 전년도의 19.63대 1보다는 소폭 하락했다.

15일 입시업체 이투스청솔에 따르면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대학은 한양대로 31.75대 1을 기록했다. 이어 서강대 26.97대 1, 성균관대 26.42대 1, 경희대 25.34대 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도보다 경쟁률이 오른 대학은 건국대(22.82대 1), 경희대(25.34대 1), 광운대(17.61대 1), 단국대(19.72대 1), 서울과기대(11.35대 1), 숙명여대(16.97대 1), 이화여대(14.41대 1), 인하대(15.61대 1) 등 8개다.

상승폭이 가장 큰 대학은 12.72대 1에서 19.72대 1로 오른 단국대다. 경희대는 21.0대 1에서 25.34대 1, 서울과기대는 7.70대 1에서 11.35대 1, 건국대는 19.27대 1에서 22.82대 1로 상승했다.

반대로 하락폭이 가장 큰 대학은 서울시립대로 29.33대 1에서 10.79대 1로 떨어졌다. 논술전형에서 학교장 추천 인원을 제한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대는 7.82대 1에서 7.10대 1로 소폭 하락했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이 9.07대 1, 지역균형선발전형이 3.15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미술대학 디자인학부가 42.39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연세대는 전체 경쟁률이 17.34대 1로 전년도 18.53대 1보다 다소 떨어졌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논술)이 40.02대 1로 가장 높았고, 특기자전형(인문) 5.58대 1, 특기자전형(자연) 6.60대 1, 학교생활우수자 7.11대 1 등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일반전형 수학과가 87.38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다.

고려대는 21.3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내 전년도 24.90대 1보다 하락했다. 전형별로는 일반전형(논술 중심) 36.84대 1, 학교장추천전형 7.50대 1, 특별전형(국제인재) 8.51대 1, 특별전형(과학인재) 7.65대 1이었다. 최고 경쟁률은 103.5대 1을 기록한 일반전형 의과대학이었다.

논술전형을 보는 수도권 주요 22개 대학의 논술 중심 전형 평균 경쟁률은 34.29대 1로 전년도 39.88대 1보다 하락했다.

이투스청솔 오종운 평가이사는 “수시 6회 지원 제한과 수준별 수능 실시에 따른 적정지원 경향이 나타나 2014학년도 수시 경쟁률이 전반적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오디션 열풍 속에서 올해도 보컬 관련 학과가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한양대(에리카) 실용음악학과 보컬전공이 471.4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고, 단국대 일반전형 생활음악과(보컬) 293.25대 1, 호원대 일반전형 실용음악학부 보컬전공은 279.8대 1, 경희대 실기우수자 포스트모던음악학과(보컬)이 245대 1 등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올해 주요 대학의 의예과 경쟁률도 예년처럼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성균관대 269.2대 1, 중앙대 181.27대 1, 한양대 120.67대 1, 고려대 103.5대 1, 울산대 90.46대 1, 아주대 85.5대 1, 연세대 64.23대 1 등이었다.

의학전문대학원이 폐지되면서 대학별 의예과 선발 인원이 늘어나 합격선 하락에 대한 기대 심리가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연합뉴스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서울시의회 정지웅 의원(서대문구1·국민의힘)이 북아현 3구역 재개발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관련법에 따라 건축심의부터 다시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북아현 3구역 재개발에 대한 건축심의 효력이 상실됐기 때문이다. 건축법 제11조 제10항에 따르면 건축심의 결과를 통지받은 날부터 2년 이내에 건축허가를 신청하지 않으면 건축심의는 효력을 상실한다. 조합은 2023년 7월 11일 건축심의 완료를 통지받았다. 조합은 건축심의 완료 이후인 2023년 11월 30일 서대문구에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신청했으나, 서대문구는 올해 5월 20일 조합에 이를 반려 통보했다. 서대문구는 사업시행계획서에 기재된 사업 기간이 총회 결의와 상이한 점을 문제로 봤다. 조합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가 반려되자 건축심의 유효기간 등 법적 검토를 하지 않고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서대문구청의 반려 결정을 취소하고 인가 처분을 해달라는 취지였다. 그러나 서울시 행정심판위원회는 최종적으로 서대문구의 반려 처분이 정당하다고 판단했다. 정비 업계에 따르면 조합 측은 사업시행계획 변경인가를 다시 신청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 의원은 현행법상 북아현 3구역 재개발의 건축
thumbnail - 정지웅 서울시의원 “북아현 3구역의 원활한 추진 위해 건축심의부터 다시 받아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