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교육청 ‘온마을캠퍼스’, 경계 넘나드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광명교육지원청이 ‘광명 T.O.P 고교학점제’ 운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은 ‘교육 1~3섹터’로 이름 붙인 ‘학교, 경기공유학교, 경기온라인학교‘의 유기적 연계 강화로 모든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는 고교학점제를 본격 추진한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 2019년부터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를 지정 운영하며, 학생 과목 선택권 확대, 진로·학업 설계 지도,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등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중점 사항을 선제적으로 준비해 왔다고 28일 밝혔다.
경기도교육청은 올해 상반기에는 520여 개의 온오프라인 공동교육 과정 운영, 13개 경기공유학교 학점인정형 프로그램 운영, 경기이음온학교 강좌 개설 등 학교의 경계와 시공간을 넘어 공교육 확장과 학생의 성장을 지원 중이다.
또한 고교학점제의 이해,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진로·학업 설계 등을 주제로 총 82회 4만 2,000여 명이 참석하는 연수를 25개 교육지원청별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런 기조에 발맞춘 경기도광명교육지원청은 ‘광명 T.O.P(Together with Open Partnership) 고교학점제’ 운영으로,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와 책임 있는 교육을 진행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광명교육지원청은 학생 수요가 있으나 소인수 선택으로 단위 학교에서 개설이 어려운 과목에 대해 일과 내에 진행하는 온마을캠퍼스 및 온라인캠퍼스, 방과 후에 진행하는 온라인 클러스터 및 오프라인 클러스터의 네 가지 유형으로 공동교육 과정을 운영 중이다.
온마을캠퍼스는 학생 선택권 확대와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구현을 위해 학교와 지역이 협력해 만든 프로그램이다. 2021학년도부터 정규교육 과정 내에서 학교 밖 지역사회 학습장을 적극 활용한 교육으로 운영하고 있다.
또 고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온마을캠퍼스와 연계한 심화 수업인 온라인캠퍼스를 운영한다.
이용현 광명교육지원청교육장은 “지역 사회와 협력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생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학교 경계를 넘나드는 학생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지역 사회와의 협력 체제 구축을 적극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