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수원 보훈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린 제4차 ‘2025 경기미래교육과정 연속포럼’ (경기도교육청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4일 수원 보훈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열린 제4차 ‘2025 경기미래교육과정 연속포럼’ (경기도교육청 제공)
경기도교육청이 24일 수원 보훈교육연구원 대강당에서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일체화를 논의하는 제4차 ‘2025 경기미래교육과정 연속포럼’을 열었다.
포럼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도교육청 관계자와 현장 참석 교원, 온라인으로 참여를 신청한 교원과 교육 가족 등 모두 200여 명이 참여했다.
올해 들어 네 번째 열린 포럼은 ‘교육의 본질 회복’을 주제로 ▲성취평가제 도입 ▲대입제도 개편 ▲인공지능(AI) 기반 논·서술형 평가 등의 정책 방향과 교육적 의미를 집중적으로 다뤘다.
주요 순서는 ▲포럼 기조 발제(서울대 권오현 명예교수) ▲‘성취평가제, 오래된 하지만 낯선 과제:학교’ 주제 발제(와우고 김미향 교사)▲대학에서 보는 고등학교 성취평가제 의견(경희대 임진택 입학사정관) ▲‘교육과정 혁신을 가로막는 장벽, 대입?’ 주제 발표(도교육청 서현주 장학사) ▲임태희 교육감 말씀 순으로 이어졌다.
현장과 온라인 참가자들은 공정한 평가의 개념과 성취평가제의 올바른 작동 방안, 대입제도와 교육과정 혁신을 중심으로 토의하고, 현장의 의견을 심도 있게 들었다.
이 자리에서 임 교육감은 “국가교육 과정을 살펴보면 암기력보다 사고력을, 정답 고르기보다 문제해결력, 자기 주도성, 창의력을 기르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학교 현장에서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는 것은 결국 대입 선발제도라는 외부요인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교육청, 대학, 교육 당국도 모두 국가에서 공인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에 대해 고민하면서도 그 해결책에 대해서는 답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면서 “경기도교육청이 AI 기반 서․논술형 평가시스템을 구축해 선생님들의 평가 부담을 덜어드리고 공신력 있는 평가, 학생이 역량을 기르는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