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강댐 준공 40년 변신의 물꼬를 틔우다

소양강댐 준공 40년 변신의 물꼬를 틔우다

입력 2013-08-12 00:00
수정 2013-08-1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댐 정상엔 탐방로·음악회… 다목적 레저댐으로

우리나라 근대화의 상징으로 불리는 소양강 다목적댐이 오는 10월이면 준공 40년을 맞는다. 강원 춘천시 신샘밭로에 자리한 소양강 댐은 수력 발전과 식수, 농업·공업 용수 공급, 홍수조절 등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관리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준공 40년을 맞아 본래 역할에 더해 국민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서기 위한 묘안을 짜내느라 분주하다. 오랜 기간 성역으로 느껴질 만큼 철저히 통제됐던 댐 정상을 개방하고, 주변에 생태탐방로를 조성하는 등 친환경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높은 지대에는 관망대를 설치해 소양호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도록 개방하는 한편 주말마다 작은 음악회도 개최해 관광객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소양강 댐 현장을 찾아 달라진 댐 관리 실태와 맑은 물을 지키기 위한 담당자들의 노력, 탐방객들의 반응과 안고 있는 문제점 등을 취재했다.

소양강 다목적댐 생태탐방로를 찾은 관광객들이 주변 경관을 감상하고 있다. 소양강댐 주변은 탐방로와 물문화관, 전망대 등 다양한 공간이 속속 들어서면서 친환경 관광지로 변신했다.
소양강 다목적댐 생태탐방로를 찾은 관광객들이 주변 경관을 감상하고 있다. 소양강댐 주변은 탐방로와 물문화관, 전망대 등 다양한 공간이 속속 들어서면서 친환경 관광지로 변신했다.
휴가철이라서인지 도로 정체로 소양강을 찾아가는 길이 녹록하지만은 않았다. 정체와 풀리기를 반복한 끝에 도착한 소양강 댐은 준공 40주년 행사를 앞두고 주변 단장이 한창이었다. 준공탑을 비롯해 댐 정상쯤에 있는 각종 조형물 앞에서는 많은 탐방객들이 기념촬영을 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소양강 처녀상 앞에서 정희만(55·서울 강서구)씨를 만났다. 부인과 대학생인 아들을 대동하고 왔다는 그는 옛날 대학생 때 방문했던 분위기와 많이 변했다면서 추억담을 들려줬다. “여기 소양강 처녀상은 있지도 않았고, 배를 타기 위해 가는 길에는 음식을 파는 노점상들이 즐비했다”면서 “주변이 훨씬 깨끗해졌고 탐방로와 조형물들도 많이 생겨 생태관광지로 손색이 없다”고 평가했다. 댐이 만들어진 지 40년 됐다고 하자 “그러면 노래 속에 등장하는 소양강 처녀도 환갑을 넘겼겠다”며 웃었다.

소양강 댐은 하류인 강원도 춘천에서 인제까지 배가 운항 중이어서 강원도 내륙 산간지역의 교통로이자 관광자원으로서도 훌륭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유역 내에는 백담사·청평사·봉정암·오세암·영시암 등의 사찰이 있고 대승폭포·구성폭포·용소폭포·쌍룡폭포·황장폭포 등이 있다. 소양강 댐은 높이 123m(해발 203m), 제방 길이 530m로 사력댐(흙과 모래, 자갈로 건설)으로는 동양 최대 규모다. 저수 면적 70㎢, 총저수량 29억t, 유역 면적 2703㎢에 이른다.

댐 사면에 조성 중인 용너미길(형상화한 사진임).
댐 사면에 조성 중인 용너미길(형상화한 사진임).
한 주민은 “소양강 댐이 완공되고 춘천 신병훈련소에서 병력들을 배치할 때 배를 이용해 인제, 양구 등 전방으로 실어나르기도 했다”면서 “깜깜한 밤에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어 불안에 떨기도 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관리기관에서 지역주민들을 위해 지원사업을 하고, 댐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이 몰려들어 좋다고 말했다. 반면 이준형(대학생)씨는 “전체적으로 돌아봤는데 조형물이 너무 인위적이고 정형화돼 있어 자연스러운 느낌이 덜하다”며 “젊은 층이 즐겨 찾을 수 있도록 수련원이나 문화시설들도 늘렸으면 좋겠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수공 관계자는 “소양강 댐은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댐이지만 볼거리가 없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며 “지난해 초부터 댐 상층부를 탐방로로 조성해 개방한 데 이어 생태관광 명소를 만들기 위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개방된 댐 정상은 댐 초입에서 댐 안쪽 팔각정(수연정)까지 왕복 2.5㎞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댐 사면에 지그재그로 산책로를 만들어 조명을 설치하는 작업도 한창이다. 신비로운 별빛 이야기를 형상화하고 수문과 댐 사면에는 야간에도 댐의 웅장함을 볼 수 있도록 다채로운 영상물을 설치할 계획이다. 댐 사면의 산책로는 ‘용너미길’로 지칭하고, 빛을 이용해 용이 승천하는 모습을 형상화한다는 구상이다. 오는 10월 준공 40주년 기념식에서 처음 선보인다.

소양강 댐은 정상부에 물 문화관, 가마골 생태학습장, 전망대, 선착장 주차장 등이 조성되고 노점상이 모두 철거돼 친수 문화공간으로 바꾸는 데는 성공했다. 반면 감춰진 이면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와의 갈등, 우천 시 쏟아져 나오는 쓰레기 수거 문제로 속앓이를 한다.

소양강 물을 취수원으로 이용하는 춘천시와는 수돗물값 문제로 20여년간 갈등을 빚고 있다. 20여년 전 소양취수장이 만들어지고 춘천시민의 절반이 소양강 물을 수돗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춘천시는 지금까지 물값을 내지 않고 수공 측과 힘겨루기를 하는 중이다. 소양강 댐을 막기 전에도 수량이 풍부했기 때문에 수공 측에 물값을 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논리다. 협상에 나설 때마다 지역 시민단체와 시의회가 강하게 반발해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댐 상류에 밀려든 수해 쓰레기를 포클레인으로 건져내고 있다.
댐 상류에 밀려든 수해 쓰레기를 포클레인으로 건져내고 있다.
또한 폭우 때면 상류 쪽에 밀려드는 엄청난 쓰레기도 소양강 댐 관리의 최대 걸림돌이다. 상류인 양구군 남면 쪽에서는 이번 장마 때 떠내려온 쓰레기 수거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작업 관계자는 “호수 계곡 쪽 수면을 가득 메운 부유물을 포클레인으로 건져내는 작업을 5일째 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는 “이번 폭우로 건져낸 쓰레기만 6000t(20t 트럭 300대 분량)에 달하고 수거비용만 3억여원이 들었다”면서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불면 주변 쓰레기가 다 날려 들어오기 때문에 비상이 걸린다”고 말했다.

한국수공 양해진 강원지역본부장은 “준공 40주년을 기념해 소양강 댐을 문화재급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한 사업을 시행 중”이라면서 “노후된 물문화관을 새롭게 단장하고, 야간에도 탐방객들이 즐겨 찾을 수 있도록 각종 시설물도 설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랜 기간 끌어온 물값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춘천시와 적극 협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글 사진 춘천 유진상 기자 jsr@seoul.co.kr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2013-08-1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