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레시피] 김장용 절임 배추는 구매 당일 사용하세요

[건강레시피] 김장용 절임 배추는 구매 당일 사용하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11-01 17:34
수정 2015-11-02 01: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상온서 하루 이상 보관 시 대장균군 증가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겨우내 먹을 김장을 준비하는 김장철이 다가왔습니다. 맛 좋은 김치의 핵심은 역시 배추입니다. 배추는 잎이 깨끗하고 속이 꽉 찬 것이 좋습니다. 배춧속이 덜 차면 무르고 가벼우니 손으로 만졌을 때 단단한 것을 고릅니다. 병충해를 입어 겉잎이 상한 것은 피하고 이물질은 없는지 잘 확인해 사야 합니다. 줄기가 너무 푸른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미지 확대
요즘에는 소금물에 담갔다가 세척, 탈수 과정을 거친 절임 배추를 구매해 김장을 하기도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소비자들을 설문조사한 결과 895명 중 30.9%인 277명이 절임 배추를 구매한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절임 배추는 편리하지만 상온에서 하루 이상 보관하면 대장균군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구매한 당일 바로 김장을 하는 게 좋습니다. 부득이하게 상온에서 하루 이상 보관해야 한다면 김장할 때 여러 번 씻은 후 사용합니다. 대장균군은 대개 김치가 발효하면서 유익균인 유산균에 의해 사멸하지만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게 좋습니다. 3회 정도 씻으면 씻기 전보다 세균이 95%, 대장균군은 93% 줄어든다고 합니다.

단, 너무 여러 번 씻으면 절임 배추가 상할 수 있으니 3회를 넘기지 않는 게 좋습니다. 절임 배추를 씻을 땐 물에 담가 손가락으로 배추의 뿌리 부분과 잎 사이를 가볍게 문지르고서 두 번 헹굽니다.

김치에 감칠맛을 더하는 액젓은 액상이 균일한 것을 골라야 합니다. 이물질이 섞였거나 뚜껑이 열렸거나 청결하지 못한 것은 피해야 합니다. 품명, 내용량, 업소명 소재지, 원산지 등에 대한 표시가 있는지도 확인합니다. 제조 업소와 원료 원산지가 다른 경우도 있으니 원산지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고춧가루는 특유의 붉은 빛깔을 내며 분말이 균일한 것을 고릅니다. 곰팡이가 생겼거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섞인 것은 피해야 합니다. 오래 보관해 색상이 변한 것은 아까워도 되도록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깐 마늘은 육질이 단단하고 아이보리색을 띠는 것을 고릅니다. 깨지거나 부서지고 짓무른 마늘이 혼입된 것은 피해야 합니다. 다진 마늘을 산다면 다짐 상태가 고르고 다진 마늘 특유의 노란빛이 나는 게 좋습니다. 물이 많이 새어 나오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마늘 냄새 외에 다른 냄새가 나는 제품도 피해야 합니다. 먹었을 때 특유의 아삭함이 살아 있는 마늘이 좋습니다. 소금에도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곰팡이 등으로 소금 고유의 색상이 변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고, 새하얀 것을 고르면 됩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11-02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