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설탕 ‘50g 전쟁’

정부, 설탕 ‘50g 전쟁’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4-07 23:02
수정 2016-04-08 0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스+콜라+커피믹스’만 벌써 41g

정부가 비만과 당뇨를 일으키는 설탕과의 전쟁에 나섰다. 2020년까지 가공식품(우유 제외)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세계보건기구(WHO) 섭취기준인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줄이기로 했다.

●하루 당류 섭취량 각설탕 16.7개 이하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7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런 내용의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2016~2020)을 발표했다. 하루에 총 2000㎉를 섭취하는 성인은 당류 섭취량을 200㎉ 이하로 줄이도록 하는 게 목표다. 200㎉를 당으로 환산하면 50g으로, 설탕 12.5티스푼(1스푼당 4g)이나 3g짜리 각설탕 16.7개에 해당하는 양이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30세 미만 어린이·청소년·청년층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2013년 평균 10.6%로 이미 WHO 기준을 넘어섰다. 전체 국민의 당류 섭취량은 2013년 기준 하루 44.7g으로 하루 열량의 8.9% 수준인데 올해는 이 수치가 1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가공식품에서 당류를 섭취하는 양이 하루 열량의 10%를 초과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비만 위험은 39.0%, 고혈압은 66.0%, 당뇨 위험은 41.0% 각각 높다.

식약처는 소비자가 당이 적게 든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영양표시 등 당류 관련 정보를 확대 제공하기로 했다. 영양표시 의무대상 가공식품을 당류가 많이 포함된 식품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당장 내년에는 시리얼과 코코아가공품에 영양표시를 의무화하고 2019년까지 드레싱·소스류, 2022년까지 과일·채소 가공품을 의무대상에 포함한다.

●내년 시리얼 영양표시 의무화

탄산음료와 사탕 등 어린이 기호식품 가운데 당류 함량이 높은 식품은 단계적으로 고열량·저영양 식품 표시를 의무화한다. 또 커피전문점에서 파는 디저트, 슬러시, 빙수 등 당이 많이 든 식품과 자판기 음료에도 당 함량을 자율적으로 표시하도록 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4-0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