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는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지난 5월 23일 이후 이달 16일까지 열사병과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 온열질환으로 모두 14명이 사망했다고 17일 밝혔다. 2011년 정부가 공식 집계를 시작한 이후 올해 두 번째로 많은 사람이 더위에 지쳐 숨졌다. 온열질환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해는 2012년(15명)이다. 2013년 14명, 지난해 11명이었으며 2014년에는 1명뿐이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7월 24일~8월 16일 사망자 집중
사망자는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 7월 말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14명 중 11명이 7월 24일부터 8월 16일 사이에 숨졌다. 더위에 쓰러져 응급실을 찾은 온열질환자는 1835명으로, 역시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지난해 온열질환자 1056명의 1.7배, 2014년 온열질환자 556명의 3.3배다.
불볕더위가 계속되면서 온열질환자 증가 폭도 커지고 있다. 7월 24~30일 268명, 7월 31일~8월 6일 337명의 신규 환자가 발생했다. 8월 7~13일에는 무려 547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이번 주 들어서는 지난 14~16일 단 사흘 만에 185명이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을 찾았고, 1명이 숨졌다.
●열대야에 야간 질환자가 28.3% 차지
밤에도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로 야간에 발생한 온열질환자도 적지 않다.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10시 사이에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520명으로, 전체 온열질환자의 28.3%를 차지했다. 낮에는 야외 활동을 삼가라는 온열질환 예방수칙도 소용없었다. 223명(12.2%)이 집이나 건물에 있다가 변을 당했다. 전기료 때문에 선풍기도 맘 놓고 가동하지 못하는 ‘에너지 빈곤층’이 대다수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6-08-18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