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연금 수령액 첫 60만원 돌파…10%는 수급 ‘제로’

65세 이상 연금 수령액 첫 60만원 돌파…10%는 수급 ‘제로’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10-26 16:35
수정 2023-10-26 1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KT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와 함께 국민연금 가입안내문, 지방세 환급안내문, 민방위통지서 등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문서를 문자메시지로 받아볼 수 있는 ‘공인알림문자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2022.1.11 연합뉴스
KT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와 함께 국민연금 가입안내문, 지방세 환급안내문, 민방위통지서 등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각종 문서를 문자메시지로 받아볼 수 있는 ‘공인알림문자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시한다고 11일 밝혔다. 2022.1.11 연합뉴스
65세 이상 노인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이 처음으로 60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노인 10명 중 1명은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개인연금 중 단 하나의 연금도 못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2016~2021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연금통계는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모두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해 개인이나 가구별 연금 가입·수급 상황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만든 자료다. 2021년 기준 자료를 토대로 통계청에서 올해 처음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862만명) 중 하나의 연금이라도 받는 비율은 90.1%(776만 8000명)였다. 지난 2016년(87%)에 비해 3.1%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연금을 2개 이상 받는 수급자 비율도 34.4%로 집계됐다. 2021년 기준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0만원으로 전년(56만 2000원)보다 6.7% 늘어나 처음으로 60만원대를 기록했다.

연금 종류별 수급액을 보면 국민연금은 월 38만 5000원, 기초연금은 27만 3000원, 직역연금은 243만 9000원이었다. 직역연금은 국민연금보다 가입 기간은 2배, 보험료는 최대 4배까지 높아 수급액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2023.2.8 연합뉴스
지하철 종로5가역에서 한 노인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 2023.2.8 연합뉴스
성별로는 남성(94.9%)이 여성(86.4%)보다 연금을 받는 비율이 높았고, 수급액도 남성이 78만 1000원, 여성이 44만 7000원으로 30만원 이상 높았다.

수급액 구간별로 보면 25만~50만원을 받는 수급자가 43.3%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하 수급자가 64.4%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25만원 미만 연금 수급자는 21.1%, 200만원 이상은 4.9%를 차지했다.

2021년 기준 18~59세 청장년 인구 중 한 개 이상의 연금에 가입한 비율은 78.8%(2372만 7000명)였다. 이 수치는 지난 2018년(71.5%) 처음으로 70%를 넘은 이후 지속적으로 올라가고 있다.

이들은 한 달 평균 32만 9000원의 보험료를 납부했고, 50만원 이상을 보험료를 내년 비율도 15.7%에 달했다. 해당 나이 주택소유자의 90.8%가 1개 이상의 연금에 가입했지만 무주택자의 가입률은 73.7%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공무원이 많은 세종의 수급액이 71만 3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광주(69만 3000원), 서울(67만 7000원)이 뒤를 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