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장악 기획’ 김재철 전 사장 “국정원과 공모 안 했다”

‘MBC 장악 기획’ 김재철 전 사장 “국정원과 공모 안 했다”

입력 2018-03-28 11:16
수정 2018-03-28 11: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세훈측 “국정원이 방송계 장악? 검찰 공소장, 재판부에 예단 갖게 해”

국가정보원과 공모해 특정 연예인들을 프로그램에서 하차하게 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김재철 전 MBC 사장 측이 “국정원과 공모하지 않았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김재철 전 MBC사장  연합뉴스
김재철 전 MBC사장
연합뉴스
김씨의 변호인은 28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선일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공판준비기일에서 재판부에 이 같은 내용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변호인은 의견서에서 “국정원과의 공모 관계를 다투고, 프로그램 제작진 등의 권리행사를 방해한 사실이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노동 관련 법률을 위반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2010∼2013년 MBC 사장이던 김씨는 국정원으로부터 ‘MBC 정상화 문건’의 내용을 전달받아 김미화·김여진씨 등 국정원의 ‘블랙리스트’에 오른 연예인들을 자사 방송에 출연하지 못하게 하고, 퇴출 대상으로 분류한 기자·PD 등 MBC 직원들을 부당하게 업무에서 배제한 혐의를 받는다.

김씨와 공모한 혐의로 기소된 원세훈 전 원장의 변호인 역시 김씨와 공모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면서 검찰의 공소장이 ‘일본주의(一本主義)’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공소장 일본주의란 검사가 기소할 때 원칙적으로 공소장 하나만을 법원에 제출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 밖에 법원에서 예단을 갖게 할 서류나 기타 물건을 첨부·인용할 수 없다는 취지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로 확립됐다. 증거능력이 없는 미검증된 증거를 제출해 재판부에 예단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취지다.

원 전 원장의 변호인은 “공소장의 80%가 국정원과 원세훈이 방송계를 장악하려 했다는 내용”이라며 “(범행)동기 부분이 기재되는 건 필요하겠지만, 검찰의 공소장은 너무 불필요하고, 재판부에 예단이 생기게 할 정도”라고 주장했다.

검찰은 이에 “사안이 전체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어서 그렇다”면서 “‘MBC 정상화 문건’은 하루아침에 나온 게 아니다. 국정원과 방송계의 은밀한 결탁이 공모 관계의 핵심”이라고 맞받았다.

재판부는 이날 공판준비절차를 마무리하고 5월 4일부터 정식 재판에 들어가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