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녹취록 속 내용 잘 조사했나?”…檢 향한 곱지 못한 시선

“대장동 녹취록 속 내용 잘 조사했나?”…檢 향한 곱지 못한 시선

입력 2022-03-01 17:36
수정 2022-03-01 17: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잇단 의혹 제기에 곤란해진 검찰

이미지 확대
김은혜, 정영학ㆍ남욱 녹취록 공개
김은혜, 정영학ㆍ남욱 녹취록 공개 국민의힘 김은혜 공보단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영학 회계사와 남욱 변호사의 녹취록 발언 내용을 공개하고 있다. 2022.2.28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연합뉴스
대선을 코앞에 두고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수사’와 관련된 의혹들이 추가로 쏟아지자 검찰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검찰은 정영학 녹취록, 피의자신문조서, 문건 보따리 등에 대해 “대부분 살펴본 내용”이라는 입장이지만 해소되지 않는 의문도 적지 않다.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은 대장동 수사와 관련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참고인으로도 불러 조사할 계획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연관성을 암시하는 진술 등을 확보하고도 이 후보의 최측근인 정진상 민주당 선거대책위 부실장만 한 차례 비공개로 소환했을 뿐이다.
이미지 확대
김은혜, 정영학ㆍ남욱 녹취록 공개
김은혜, 정영학ㆍ남욱 녹취록 공개 국민의힘 김은혜 공보단장이 28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개한 정영학 회계사와 남욱 변호사의 녹취록. 2022.2.28 [국회사진기자단]
toadboy@yna.co.kr 연합뉴스
그러자 국민의힘 측에선 공세에 나섰다. 김은혜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28일 공개한 2013년 4월 ‘정영학 녹취록’에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으로 추정되는 인사가 천화동인 4호 소유주 남욱 변호사에게 “내가 시장님을 설득할 수 있다”고 말한 내용이 담겨 있다.

민주당에서는 “네거티브 공세”라고 맞받았지만 의혹이 계속됐다. 국민의힘은 정민용 전 성남도개공 개발기획팀장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대장동 문건 보따리’도 공개하면서 “여러 대장동 사업 중에서도 특히 이 후보의 재판 관련 공문서들이 다수 이 보따리 안에 들어 있다”고 주장했다.
원희룡(오른쪽) 국민의힘 정책본부장이 지난 2월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입수한 대장동 관련 버려진 문서들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2.02.25 연합뉴스
원희룡(오른쪽) 국민의힘 정책본부장이 지난 2월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입수한 대장동 관련 버려진 문서들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2.02.25 연합뉴스
국민의힘에서는 검찰에 ‘전면 재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만 검찰은 해당 자료들은 이미 수사 과정에서 확보한 내용이라는 입장이다. 특히 검찰에서는 지난해 10월쯤 혐의 여부를 검토했던 자료들이 대선에 임박해 무분별하게 폭로되는 데 대해 불편한 기색도 감지된다.

하지만 법조계에서는 검찰이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검찰 출신의 한 변호사는 “녹취록·피의자 진술 등에서 이 후보가 이렇게 자주 등장한다면 최소한 서면으로라도 조사했어야 한다”면서 “처음부터 수사 의지가 없었던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한 검찰 간부는 “황무성 전 성남도개공 사장 ‘사퇴 압박’ 의혹 때도 석연치 않은 이유로 이 후보를 무혐의 처분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 눈치를 볼 수밖에 없던 것 같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