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높이’ 앞에 쩔쩔맨 韓 농구… 우리도 귀화 센터가 필요하다

[스포츠 돋보기] ‘높이’ 앞에 쩔쩔맨 韓 농구… 우리도 귀화 센터가 필요하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9-19 21:02
수정 2016-09-19 22: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亞챌린지 이란에 완패… 준우승, 대만·日처럼 귀화선수 활용해야

귀화 태극마크, 그것도 귀화 센터의 중요성을 일깨운 대회였다.

허재 전임감독이 이끄는 남자농구 대표팀이 19일 이란 테헤란에서 막을 내린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 챌린지 결승에서 이란에 47-77로 져 준우승에 머물렀다. 지난 15일 조별리그 2라운드에서 당했던 38점 차 완패의 수모를 조금 누그러뜨리는 데 그쳤다.

귀화 선수는 아니지만 미국프로농구(NBA)를 주로 벤치에서 경험한 하메드 하다디(218㎝)에게 20득점 23리바운드, 공격리바운드만 15개를 빼앗겨 골밑을 사실상 양보한 셈이 됐다. 리바운드 수 27-64에 페인트존 득점 12-34로 압도됐다. 2라운드 대결 때 리바운드 27-46에 페인트존 득점 12-40으로 압도당하며 하다디에게 29득점 10리바운드를 허용했는데 나아진 것이 거의 없었다.

사실 평균 신장이 193㎝에 불과한 한국은 높이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다. 205㎝를 넘는 선수가 이란은 셋이고, 중국은 다섯이나 된다. 한국은 김종규(207㎝)가 유일하다.

대만과의 준결승에서는 미국에서 귀화한 센터 퀸시 데이비스(203㎝)에게 21득점 12리바운드를 내주며 혼쭐이 났다. 8강전에서는 미국에서 이라크로 국적을 바꾼 포워드 케빈 갤로웨이(200㎝)가 16득점 9리바운드 8어시스트 트리플더블급 활약하는 것을 거의 바라만 봤다. 일본과의 1라운드 대결에서도 미국에서 귀화한 포워드 데몬 브라운(19승㎝)에게 14득점 14리바운드로 골밑을 내줬다. .

허재 감독은 지난 12일 “이제 국가대표팀에도 귀화 선수를 활용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한다”고 털어놓으면서 단일민족이란 정서 때문에 힘들다면 짜임새 있는 농구로 맞설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높이에서 밀리면 아무것도 안 된다는 너무 당연한 교훈을 이번 대회에서 쌉싸래하게 얻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6-09-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