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하던 안병훈, 특급대회에서 공동 8위로 올 시즌 첫 톱10진입

조용하던 안병훈, 특급대회에서 공동 8위로 올 시즌 첫 톱10진입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5-03-10 10:06
수정 2025-03-10 1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안병훈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톱 10’
안병훈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톱 10’ [올랜도=AP/뉴시스] 안병훈이 9일(현지 시간) 미 플로리다주 올랜도 베이힐 클럽 & 로지에서 열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최종 라운드 1번 페어웨이에서 샷하고 있다. 안병훈은 최종 합계 5언더파 283타 공동 8위로 대회를 마쳤다. 2025.03.10.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그동안 조용하던 안병훈이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특급대회에서 공동 8위에 오르며 올 시즌 처음으로 톱10에 진입했다.

안병훈은 10일(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의 베이힐 골프&로지(파72)에서 열린 PGA 투어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총상금 2000만달러) 최종 라운드에서 4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5언더파 283타를 적어낸 안병훈은 11언더파 277타로 우승을 차지한 러셀 헨리(미국)에 6타 뒤진 공동 8위에 이름을 올렸다. AT&T 페블비치 프로암에서 기록한 공동 22위가 최고 순위였는데 7번째 대회에서 순위를 대폭 끌어올린 것. 올 시즌 안병훈이 톱10에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톱랭커들이 대거 출격한 ‘특급 대회’에서 시즌 첫 톱10을 기록한 안병훈은 기량 확인과 함께 자신감을 끌어올리는 계기를 마련했다.

3라운드까지 공동 17위였던 안병훈은 이날 티샷을 멀리 똑바로 보내면서 퍼팅감각도 좋아 순위를 끌어올릴 수 있었다. 그린적중률은 공동 4위(72.22%)에 오를 만큼 샷 실수가 작았다.

2번홀(파3)에서 보기로 출발해 다소 불안했지만 4번홀(파5)에서 버디로 만회한 뒤 7번홀(파3) 6m 버디에 8번홀(파4)에서도 버디를 추가해 전반을 2언더파로 마쳤다.

안병훈은 후반 9홀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15번홀(파4)에서 환상적인 세컨드샷으로 공을 홀컵 40㎝ 앞에 붙인 뒤 ‘탭 인 버디’를 잡은 뒤 16번홀(파5)에서도 한 타를 더 줄여 톱10을 달성했다. 이날 공동 8위에 오른 안병훈은 113위였던 페덱스컵 랭킹을 52위로 끌어올렸다. 임성재와 김시우는 나란히 공동 19위(1언더파 287타)에 이름을 올렸다.

이미지 확대
러셀 헨리,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정상
러셀 헨리,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정상 [올랜도=AP/뉴시스] 러셀 헨리(미국)가 9일(현지 시간) 미 플로리다주 올랜도 베이힐 클럽 & 로지에서 열린 미국프로골프(PGA) 투어 아널드 파머 인비테이셔널 정상에 올라 트로피를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헨리는 최종 합계 11언더파 277타로 우승하며 통산 5번째 정상에 올랐다. 2025.03.10.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우승은 헨리가 차지했다. 헨리는 이날 2타를 줄여 최종합계 11언더파 277타로 콜린 모리카와(미국·10언더파 278타)를 한 타 차로 따돌렸다. 2022년 11월 WWT 챔피언십 이후 2년 4개월 만에 투어 통산 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상금은 400만 달러(약 58억 원).

지난해 이 대회 우승자인 세계랭킹 1위 스코티 셰플러(미국)는 4언더파 284타 공동 11위로 대회를 마쳤다. 재미교포 마이클 김은 8언더파 280타 단독 4위로 선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