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장마에 모기 씨 말라…모기약도 안팔려

마른장마에 모기 씨 말라…모기약도 안팔려

입력 2014-08-01 00:00
수정 2014-08-01 07: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비 안와 모기 개체수↓…모기약 판매 줄어

여름마다 ‘모기의 제물’이 되는 탓에 밤잠을 설치는 회사원 김다솔(30·여)씨는 올해 여느 때보다 산뜻한 여름을 보내고 있다. 모기에 물리는 횟수가 눈에 띄게 뜸해졌기 때문이다.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는 고인 물에서 자라는데 올해는 장마철에 비가 좀처럼 오지 않아 모기 개체 수가 예년보다 줄었다.

이에 ‘모기약 성수기’인 여름에 살충제·방충제 등 모기약 판매가 주춤하다.

1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린 지난 5월 파리·모기 살충제 매출은 지난해 5월보다 23.7% 증가했다.

그러나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한 매출 신장률은 6월 들어 4.3%로 둔화했고, 7월에는 -2.7%를 기록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모기향, 모기 패치, 방충 밴드 등 해충을 쫓으려 사용하는 방충제 매출은 최근 3개월 내내 역신장했다. 5∼7월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8% 줄었다.

매출 감소 폭은 5월 -16.7%, 6월 -18.2%, 7월 -20.6%로 모기의 계절인 한여름이 다가올수록 점점 커졌다.

이호철 롯데마트 일상생활 상품기획자(MD)는 “이른 더위로 5월부터 모기가 출현해 초여름을 앞두고 모기약 매출이 일시적으로 늘었으나, 정작 6∼7월에는 마른 장마로 모기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이 이어지면서 매출이 급격히 줄었다”고 말했다.

오픈마켓 G마켓에서는 5∼7월 LED 램프, 초음파 모기 퇴치기 등을 포함한 해충·모기 퇴치기 판매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1% 감소했다. 판매 감소율은 5월 -1%, 6월 -11%, 7월 -17%로 갈수록 높아졌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일본뇌염 예측조사사업을 위해 서울시내 곳곳에 유문등(모기를 유인하는 등)을 설치해 채집한 모기 개체 수는 올해 들어 7월까지 2천56마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천664마리)의 56% 수준이다.

평년보다 기온이 높았던 올해 5월 첫째 주에 잡힌 모기는 58마리로 작년 같은 기간(12마리)보다 383% 증가했다.

반면 7월 넷째 주에 채집한 모기 개체 수는 지난해 1천207마리였는데 ‘마른 장마’가 지나간 올해는 작년의 15%인 185마리에 그쳤다.

모기는 웅덩이나 연못 같은 고인 물에 알을 낳고, 모기 유충인 장구벌레도 물속에서 헤엄치면서 자란다.

서울시 생활보건과의 한 관계자는 “모기 생장에 기온과 습도가 영향을 미치는데 올해는 비가 오지 않아 개체 수가 줄었다”며 “여름에 강우량이 어느 정도 뒷받침돼야 모기가 서식할 환경이 조성된다”고 설명했다.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서울특별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이 지난 4월 18일, 서울은정초등학교(교장 채미정)로부터 교육시설 및 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확보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 이번 감사패는 노후화된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교에 관심을 가지고 예산 확보를 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교직원과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들이 마련한 것이다. 허 의원은 등원 이후부터 주기적으로 관내 학교장 면담, 운영위원회 참석 등을 통해 학교·학부모들과 소통하며 교육 현안과 건의사항을 청취해 왔다. 특히 은정초의 경우, ▲체육관 안전 및 어린이 놀이시설 개선 2억 5000만 원 ▲교문시설 개선 2100만 원 ▲학생용 보관시설 개선 3400만 원 ▲급식실 안전시설 개선 1억 600만 원 ▲교육 지원시설 개선 4700만 원 ▲특별교실환경(보건실) 개선 4000만 원 ▲도서관환경 개선 3000만 원 등 2022년부터 은정초에만 총 16억 6300만 원의 교육예산을 확보하며, 학교 전반의 교육환경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다. 서울은정초등학교는 1996년 개교 이후 올해로 29주년을 맞이한 학교로, 주요 시설이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어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학습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