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1명이 아이 1명 안낳는다’…서울시 출산율, 전국 꼴찌

‘여성 1명이 아이 1명 안낳는다’…서울시 출산율, 전국 꼴찌

입력 2014-09-04 00:00
수정 2014-09-04 07: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국 유일 ‘0명대’ 출산율…산모 평균 나이도 가장 많아

서울시 출산율이 전국 17개 시도 중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통계청의 ‘2013년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합계출산율(여자 한 명이 평생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은 0.968명으로 전국 평균인 1.187명을 밑돌았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데다 유일한 ‘0명대’ 출산율이다.

부산(1.049명)이 서울 다음으로 출산율이 낮았고, 대구(1.127명), 광주(1.170명), 인천(1.195명) 등도 저조한 출산율을 보였다.

반면, 가장 출산율이 높았던 곳은 전남(1.518명)이었다. 충남(1.442명), 세종(1.435명), 제주(1.427명), 울산(1.391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의 출산율은 ‘황금돼지해’ 출산 열풍이 불었던 2007년 1.056명을 기록했다가 2008년 1.010명, 2009년 0.962명으로 하향 곡선을 그렸다.

2010년(1.015명)과 2011년(1.014명)에는 다시 소폭 상승해 간신히 1명대를 지키다 2012년 ‘흑룡해’를 맞아 1.059명으로 뛰어올랐으나, 지난해 다시 0명대로 떨어졌다.

서울 안에서도 구별로 보면 지난해 종로구(0.729명)의 출산율이 가장 낮았고, 관악구(0.825명)와 강남구(0.842명)가 그 다음으로 낮았다. 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구로구(1.162명)였다.

서울의 출산율이 낮은 것은 혼인 연령대의 젊은 인구가 밀집돼 있지만 일하는 여성이 많아 만혼과 늦은 출산 비율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이 전체적으로 겪고 있는 저출산 문제의 심각성이 대도시 서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서울은 전국 시도 중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도 가장 높다.

지난해 서울에서 아이를 낳은 모(母)의 평균 출산연령은 32.47세로 전국 평균 31.84세를 0.5세 이상 웃돌았다.

서울 산모 평균 출산 연령은 지난 2002년 전국 시도 중 최초로 30세를 돌파한 뒤 2003년 30.26세, 2008년 31.48세, 2013년 32.47세 등 5년 단위로 약 1세씩 증가하는 추세다.

전수호 서울시 출산장려팀장은 “청년실업 등으로 결혼을 부담스러워 하는 추세인데다 출산은 보육·교육·주거 등 복합적으로 문제가 있어 저출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서울시 차원에서도 각종 저출산 관련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역부족이어서 정부 차원의 관심과 심각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서울특별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이 지난 4월 18일, 서울은정초등학교(교장 채미정)로부터 교육시설 및 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확보 공로를 인정받아 감사패를 받았다. 이번 감사패는 노후화된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교에 관심을 가지고 예산 확보를 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교직원과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들이 마련한 것이다. 허 의원은 등원 이후부터 주기적으로 관내 학교장 면담, 운영위원회 참석 등을 통해 학교·학부모들과 소통하며 교육 현안과 건의사항을 청취해 왔다. 특히 은정초의 경우, ▲체육관 안전 및 어린이 놀이시설 개선 2억 5000만 원 ▲교문시설 개선 2100만 원 ▲학생용 보관시설 개선 3400만 원 ▲급식실 안전시설 개선 1억 600만 원 ▲교육 지원시설 개선 4700만 원 ▲특별교실환경(보건실) 개선 4000만 원 ▲도서관환경 개선 3000만 원 등 2022년부터 은정초에만 총 16억 6300만 원의 교육예산을 확보하며, 학교 전반의 교육환경 개선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왔다. 서울은정초등학교는 1996년 개교 이후 올해로 29주년을 맞이한 학교로, 주요 시설이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어 학생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학습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은정초등학교로부터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감사패 받아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