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 드론을 품다… ‘융합’의 CES

가전, 드론을 품다… ‘융합’의 CES

입력 2015-01-08 00:18
수정 2015-01-08 03: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마트카는 메인 부스 점령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 사우스 홀 2층. 하얀 그물망이 쳐진 무대 위로 형형색색의 소형 드론(무인항공기)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신나는 음악과 함께 드론 6대가 편대를 이뤄 춤을 추기 시작하자 관람객들이 무대 가까이로 달려들었다. 누군가는 연신 “재밌다”(interesting)를 외쳤고, 누군가는 드론의 비행을 스마트폰에 담아내느라 숨을 죽였다.
이미지 확대
내 눈앞의 가상현실
내 눈앞의 가상현실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한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 ‘CES 2015’ 삼성전자 부스에서 한 외국인 관람객이 가상현실 ‘기어VR’을 착용하고 서비스를 즐기고 있다. 기술융합 트렌드가 전성기를 맞으면서 이번 CES에서는 드론을 비롯해 자동차 존과 3D프린팅 존 등이 확대되는 등 ‘탈가전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연합뉴스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장에 드론 존이 열렸다. 6500㎡(약 1966평) 규모의 드론 전시관에는 손바닥 크기의 초소형 드론부터 블루투스와 스마트폰으로 조종이 가능한 제품,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이용해 직접 드론에 탑승한 듯한 느낌을 주는 제품 등이 전시돼 눈길을 끌었다.

TV, 냉장고, 세탁기 등이 중심인 가전 박람회에 쌩뚱맞게 ‘드론 존’이 등장한 이유는 뭘까. 기술융합 트렌드가 전성기를 맞으면서 가전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다. 실제 올해 CES 전시장은 드론뿐만 아니라 자동차 존과 3D프린팅 존 등이 확대되는 등 ‘탈가전화’ 경향이 거셌다.

특히 자동차 업체들은 CES 참여 3년 만에 아예 메인 자리를 꿰찼다. 이번 CES에서 현대차, GM 등 주요 업체들은 일반 자동차와 정보기술(IT)을 결합한 신개념 스마트카를 선보이며 인기몰이에 나섰다. 사우스 홀에서 모노레일로 한 정거장 거리에 있는 샌드 엑스포 전시장에서는 지난해보다 2배 이상 공간을 키운 3D프린팅 존이 자리를 잡았다. 이곳에서는 장난감, 옷, 신발에 이어 음식까지 버튼 하나로 제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

한편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는 이날 ‘삼성의 스마트홈 마스터플랜: 다른 이들에게 문을 열다’라는 제목의 해설기사에서 “이번 ‘CES 2015’에서 가장 중요한 상품이 삼성전자의 사물인터넷(IoT) 개방정책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윤부근 삼성전자의 소비자가전(CE) 부문장은 전날 기조연설을 통해 2017년까지 삼성전자 제품의 90%, 2020년에는 전 제품에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도록 하고, 다른 업체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플랫폼을 개방한다는 전략을 발표했다.



라스베이거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1-0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