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마트 추석대목 성적표…”선전했다”

백화점·마트 추석대목 성적표…”선전했다”

입력 2015-09-29 14:48
수정 2015-09-29 14: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화점·마트가 지난달 중순께 ‘선물 예약 판매’에 들어간 이후 한달 열흘여만에 ‘추석 대목’ 장사를 모두 마쳤다.

놀랄만한 실적은 아니지만 전반적 소비 침체 속에서 선전했다는 게 유통업계의 평가다.

◇ 추석선물 매출 백화점 10%, 마트 2~3% 증가

29일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25일까지 추석 선물세트 매출(예약판매 포함)은 지난해 같은 기간(추석 기점)보다 11.8% 늘었다.

품목별로는 청과(23.2%), 건강식품(22.9%)의 증가율이 높았고, 주류(17.3%)·한우(11.9%) 등도 10%를 넘어섰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 선물 매출 증가율(전년대비 15%)보다는 낮지만 올해 메르스 사태나 장기 소비침체 등 때문에 추석을 앞두고 크게 우려했던 것을 감안하면 괜찮은 실적”이라고 자평했다.

신세계의 경우 추석 선물 매출(예약판매 포함·8월 18일~9월 22일) 증가율(작년동기대비)이 8.3%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추석 선물 매출 증가율(11%)을 다소 밑도는 수준이다.

품목별 증가율은 ▲ 축산(한우 등) 10.8% ▲ 수산(굴비·갈치 등) 2.9% ▲ 청과 7.2% 등이었다.

갤러리아백화점의 추석 선물 매출(예약판매 포함·8월 21일~9월 26일)도 11% 늘었다. 공산품이 36% 뛰었고, 수입식품 포함 델리류(간식·디저트 등)·와인·건식품·생선 등도 12~18% 증가했다.

수입식품·델리류·건강식품의 매출 비중이 전체 선물세트 가운데 25%로 가장 컸고 정육(24%), 건식품(12%) 등이 뒤를 이었다.

대형 마트의 추석 매출 증가율은 2~3% 수준으로 백화점에 크게 못 미쳤지만 분기 매출이 정체 또는 감소하는 추이에 비춰 “나쁘지 않았다”는 반응이다.

예를 들어 이마트의 올해 추석 선물세트(예약판매 포함·8월 17일~9월 26일)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추석 기점)보다 3.4% 많았다. 특히 랍스터·전복(32%), 통조림(12%) 등이 인기를 끌었다.

◇ 불황 속 ‘실속형’ 선물 인기

특히 올해 추석 선물세트 소비의 특징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실속형 선물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남기대 롯데백화점 식품부문장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으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올해 추석에는 건강식품 선물의 인기가 두드러졌다”며 “가격대별로는 10만원대 한우, 7만~8만원대 과일, 5만~7만원대 비타민 등 실속형이 많이 팔렸다”고 설명했다.

신세계 관계자도 “선물세트 판매 건수 기준으로는 증가율이 더 높은데 축산·수산·청과·건강 등 모든 품목군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실속 선물이 작년보다 42% 정도 늘었기 때문에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에 다소 못 미쳤다”고 전했다.

갤러리아백화점이 추석 선물세트 매출 실적을 가격대별로 분석한 결과, 30만원 이상의 고가 선물의 비중은 12% 정도인데 비해 10만원 미만 저가 상품은 무려 49%에 이르렀다.

더구나 작년 추석과 비교해 10만원 미만, 10만~20만원 가격대 선물의 매출은 각각 10%, 14% 늘어 전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1~2인 가구를 겨냥한 ‘작은 선물(스몰 기프트) 세트’ 매출은 무려 5배로 뛰었다.

임희철 갤러리아백화점 F&B(식품·음료)상품팀 바이어는 “합리적 구매 경향을 반영해 1~2인 가구를 위한 소용량·소포장 상품을 늘리고 저가 상품군에 버섯류·고추장·한우 등 품목을 추가했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에서도 양말 등 중저가 상품이 주로 포함된 패션·잡화(작년동기대비 16.3%↑), 가공식품군(8.5%), 건강·미용 상품군(6.5%) 등이 호조를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