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SK케미칼 혈우병치료제 시판 허가
세계 8조원 규모… 미국만 3조6000억SK “유럽·호주서도 최종 승인 단계에”


국내에서 바이오 신약을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은 것은 처음이다. 바이오 의약품은 일반 화학 의약품보다 분자구조가 복잡해 개발 과정이 까다롭다.
SK케미칼은 27일 혈우병 치료제 후보 물질(SK-NBP601)이 ‘앱스틸라’라는 제품명으로 FDA의 판매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SK케미칼은 2009년 호주 제약사 CSL에 이 기술을 수출했다. 정확한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SK케미칼은 향후 제품에 대한 로열티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앱스틸라는 기존 혈우병 치료제가 두 개의 단백질이 연합된 형태인 것과 달리 두 단백질을 하나로 결합한 ‘단일 사슬형 분자구조’로 분자 안정성이 개선돼 효능과 약효의 지속 시간이 향상됐다. 임상 결과 주 3~4회 투여해야 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주 2회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게 SK케미칼 측의 설명이다.
SK케미칼이 개발한 후보 물질은 A형 혈우병 치료제다. 혈우병은 X염색체의 유전자 돌연변이로 혈액 내 응고인자가 부족하게 돼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으로 A, B형 두 종류로 나뉜다.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A형 혈우병은 모두 13개의 인자 중 8번 인자에 결함이 생겨 발병한다. 주로 남성이 걸리며 근육이나 내부 장기 등에서 출혈이 발생한 후 멈추지 않는다.
박만훈 SK케미칼 사장은 “미국에 이어 세계 주요국으로의 수출도 가시권이다. 이 제품은 현재 유럽과 호주에서 허가 당국에 의한 최종 시판 승인 단계에 있는 상태”라면서 “연구·개발(R&D)에 대한 오랜 투자가 결실을 냈다”고 말했다.
시장조사업체인 데이터모니터에 따르면 미국의 A형 혈우병 치료제 시장은 전 세계 8조원대 시장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2014년 기준 3조 6000억원에 달한다. 혈우병 치료제 시장은 최근 영국계 회사인 샤이어에 인수된 박스앨타가 주도하고 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5-28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