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기술 선점’ 포부… 현대車 ‘수직계열화’ 포석

삼성·LG ‘기술 선점’ 포부… 현대車 ‘수직계열화’ 포석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11-20 23:24
수정 2016-11-21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M&A 통해 나타난 한국 30대 그룹 경영전략

지난 7년간 30곳서 280곳 인수
인수합병 거래금액 58조 달해

삼성과 롯데가 국내 30대 그룹 중 가장 적극적으로 기업 인수·합병(M&A)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이후 지난 7년 동안 30대 그룹이 단행한 M&A 총 280건 중 해외 기업을 인수한 사례는 25건에 불과, 기업들이 시야를 넓힐 필요성이 제기됐다.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 CEO스코어는 2010년부터 올 11월 현재까지 30대 그룹의 M&A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57조 9135억원 규모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M&A를 통해 경영권을 완전히 인수하고, 사업보고서상 인수 금액이 확인된 사례와 함께 최근 삼성전자의 하만 인수처럼 금액이 확정된 예정 기업도 집계에 포함됐다.

●하만 품은 삼성 ‘11조 3000억대’ 사용

조사 시기인 지난 7년 동안은 전 세계적으로 기업들이 특허와 기술을 공유하고 기술기업을 M&A하는 개방혁신(오픈 이노베이션) 기류가 확산되던 시기와 겹친다. 이런 기류에 잘 부응한 기업으론 삼성이 꼽혔다. 7년 동안 21건(11조 3816억 9100만원)의 삼성 M&A 중 7건(10조 3913억 7100만원)이 해외 M&A였다. 삼성의 해외 M&A 금액은 이달 들어 자동차 전자부품 업체인 하만을 9조 3000억원에 인수하느라 급증했지만 삼성은 하만 이외에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인공지능(AI) 등 해외 기술기업 인수에 지속적으로 공을 들여 왔다.

해외 4곳을 포함해 25곳(2조 2788억 6900만원)을 인수한 LG 역시 실리콘웍스(시스템설계), 원신스카이텍(무인헬기시스템) 등 기술 기업을 인수하는 행보를 이어 왔다.

현대차 그룹은 5건(5조 5589억 3000만원)을 인수했는데 주로 현대종합특수강, 만도신소재 등 수직 계열화를 노린 포석이 많았다. 단, 4조 9601억원 규모였던 현대건설 인수 배경으로 현대차 그룹의 과거 현대가(家) 복원 의지가 꼽히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7년 동안 해외 M&A에는 나서지 않았다.

●롯데·한화·CJ 등 주력사업 우위 전략

포스코, 롯데, 한화, CJ 등은 주력 사업의 우위를 강화하려는 M&A에 관심이 컸다.

대우인터내셔널 편입이란 빅딜을 포함해 10건(4조 8999억 2400만원)의 M&A를 성사시킨 포스코는 에너지, 소재 분야로 외연을 넓혔다. 28곳(9조 7583억 500만원)을 인수한 롯데는 삼성의 화학 부문을 편입시키거나 하이마트나 KT렌탈처럼 유통망을 강화시키는 측면에 관심을 보였다.

46건(4조 1023억 7300만원)에 달하는 CJ의 M&A 대상은 엔터테인먼트 및 식품 기업 쪽에 집중됐고, 한화가 인수한 11곳(3조 5732억 6700만원) 중에는 방산이나 태양광 기업들이 많았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11-2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