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168조원 쌓였지만…수익률 1.88%로 부실운영

퇴직연금 168조원 쌓였지만…수익률 1.88%로 부실운영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22 11:00
수정 2018-03-22 11: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리금보장형에 ‘쏠림’ 여전…은행 정기예금 금리에도 못미쳐

직장인 노후보장을 위한 퇴직연금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168조원 넘게 쌓였다. 그러나 수익률은 1.88%에 불과해 금융회사들의 ‘부실운영’이 지적되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퇴직연금 적립금은 168조4천억원이다. 2016년 말보다 21조4천억원(14.6%) 증가한 규모다. 148조3천억원(88.1%)이 원리금 보장 상품이고, 실적배당 상품은 14조2천억원(8.4%)에 불과했다.

확정급여형(DB형)이 110조9천억원으로 11조3천억원(11.3%), 확정기여형(DC형)과 기업형 퇴직연금(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이 42조3천억원으로 7조3천억원(20.7%), 개인형 IRP가 15조3조원으로 2조9천억원(23.2%) 늘었다.

원리금 보장 상품은 예·적금 비중이 68조5천억원(46.2%)을 차지했다. 2016년(47.7%)보다 1.5%포인트(p) 하락했지만,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이다. 보험 상품이 64조4천억원(43.4%),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가 13조2천억원(8.9%) 순이다.

실적배당 상품 가운데 13조8천억원(97.4%)은 집합투자증권이 차지했다. 집합투자증권 중 채권형이 9조4천억원(68.2%)을 차지해 보수적인 운용 행태를 보였다.

금융권역별 퇴직연금 점유율은 은행(50.0%), 생명보험(23.5%), 금융투자(19.1%), 손해보험(6.4%), 근로복지공단(1.0%) 순이다. 삼성생명과 신한은행 등 상위 6개사의 적립금이 52.2%에 달했다.

연간 수익률(총비용 차감 후)은 지난해 1.88%, 최근 5년 환산 수익률은 2.39%, 9년 환산은 3.29%다. 연간 수익률은 2016년보다 0.30%p 상승했다.

다만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는데도 원리금 보장 상품의 수익률은 2016년보다 0.23%p 하락한 1.49%를 기록,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1.65%)보다도 0.16%p 낮았다.

실적배당 상품 역시 코스피 지수가 지난해 21.76% 상승했지만, 해당 상품들의 평균 수익률은 6.58%로 2016년보다 6.71%p 상승하는 데 그쳤다.

주식시장 호황의 영향으로 실적배당 비중이 많은 DC형과 기업형 IRP가 2.54%로 수익률이 그나마 높은 편이었다. 개인형 IRP는 2.21%, DB형은 1.59%에 불과했다.

업권별로는 실적배당 비중이 큰 금융투자가 2.54%로 가장 높고 생명보험(1.99%), 손해보험(1.79%), 은행(1.60%), 근로복지공단(1.58%) 순을 기록했다.

퇴직연금의 연간 총비용을 기말 적립금으로 나눈 총비용부담률은 0.45%로 1년 전과 같았다. 연간 총비용은 운용관리수수료, 자산관리수수료, 펀드총비용을 더한 개념이다.

만 55세 이상 퇴직연금수령 개시 계좌는 지난해 24만1천455개 중 4천672개 계좌(1.9%)에 그쳤다. 퇴직급여 수령액 기준으로는 전체 4조9천795억원 중 1조756억원(21.6%)을 연금으로 받았다.

일시금 계좌의 평균 수령액은 1천649만원으로, 연금수령 계좌 평균 수령액(2억3천만원)의 7.2%에 불과했다. 상대적으로 적립금이 적은 소액 계좌의 경우 연금보다는 일시금 수령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