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 가계대출 4년 후가 상환 부담 가장 크다”

“급증 가계대출 4년 후가 상환 부담 가장 크다”

장세훈 기자
입력 2018-05-21 22:42
수정 2018-05-21 23: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결제은행·美 교수 분석

세계 주요 국가에서 가계 대출이 팽창한 뒤 4년 뒤가 되면 상환 압박이 가장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대입해 보면 2020년쯤 가계 대출이 ‘시한폭탄’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국제결제은행(BIS) 마티아스 드레만 이코노미스트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안톤 코리넥 교수가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게재한 ‘흐름을 따라가다:신규 대출, 채무 상환 부담 그리고 신용 호황 이전’ 보고서에 따르면 신규 대출의 정점과 상환 부담의 정점 사이에는 평균 4년의 시차가 발생했다. 이는 1980~2015년 미국과 일본 등 16개국의 가계 부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는 “가계 대출이 늘어나면 처음에는 경기를 활성화하지만 중기적(5∼7년)으로는 오히려 경기를 둔화시키고 위기 위험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는 2014년 기준금리 인하와 대출 규제 완화가 맞물리면서 가계 대출이 빠르게 늘기 시작했다. 이어 2016년 한 해에만 가계신용이 139조원, 11.6% 늘면서 증가 규모나 증가율에서 모두 정점을 찍었다. 지난해에는 증가율이 8%대로 둔화됐다.

연구 결과를 대입하면 우리나라 가계의 상환 부담은 앞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기준 150만명에 육박하는 취약 차주가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이들 가운데 21.8%는 지금도 원금은 고사하고 이자를 갚는 데만 전체 소득의 40% 이상을 쓰고 있다. 최근에는 규제가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대신 신용대출이나 개인사업자대출 등이 증가하는 ‘풍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도 불안한 대목이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8-05-22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