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하방 리스크 커 올해 성장률 2.2% 녹록지 않다”

이주열 “하방 리스크 커 올해 성장률 2.2% 녹록지 않다”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9-29 17:50
수정 2019-09-30 0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내 수출·투자·소비 좀처럼 안 살아나… 세계 경제 반등 모멘텀도 찾기 어려워”

1~2개월 정도 마이너스 물가 지속 예상
경기부진에 통화정책 완화 기조 재확인
이미지 확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2.2% 달성이 녹록지 않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 27일 인천 한은 인재개발원에서 열린 기자단 워크숍 후 만찬에서 “지난 7월 성장률 (수정) 전망치를 내놓은 이후의 흐름을 종합하면 하방 리스크가 더 커졌다”며 이렇게 말했다. 미중 무역갈등을 비롯해 글로벌 무역분쟁 등으로 세계 경제와 한국 경제의 성장세가 약화됐다는 진단이다. 지난 7월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2%로 낮췄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다.

이 총재는 “주요국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더 완화적으로 펴면 세계 경제의 둔화 우려도 다소 완화될 수 있다”면서도 “무역 분쟁, 브렉시트,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이 워낙 커 연내 글로벌 경기가 반등 모멘텀을 찾기 쉽지 않다”고 내다봤다.

국내 경기에 대해선 “수출과 투자가 부진하고 소비심리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내년 경기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변수는 미중 무역분쟁 전개 양상과 반도체 경기의 회복 시점”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두 ‘키 팩터’(Key Factor)에 대해 지금 자신 있게 말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또 “물가상승률 하락에는 분명 수요 악화도 영향을 줬을 것”이라면서도 “8월 물가상승률(0%)은 지난해 농축수산물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컸다”고 했다. 이어 “장기간 많은 품목으로 물가 하락이 확산되는 것을 디플레이션이라 하는데, 아직 디플레이션 징후는 아니다”라면서 “앞으로 1~2개월 정도 마이너스 물가로 가지만 연말 혹은 내년 초엔 1% 내외로 오르고, 물가 하락 품목의 경우 30% 정도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대외 여건과 국내 성장·물가 전망 경로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점을 고려해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영하겠다는 기조에 변화가 없다”고 했다. 금융 위기 수준의 충격이 오면 정치적 문제로 미국, 일본과 통화 스와프를 맺기 어려운 게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미국은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신흥국 시장과 통화 스와프를 하지 않는다”면서 “미국과 스와프를 체결할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까지 가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9-30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