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할 의사 없어 그냥 쉬는 상태
무기력증 여파, 1년 새 9.9% 급증

연합뉴스
서울 마포구 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게시판을 보고 있다.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폭은 2년 만에 가장 낮았다. 또 경제활동 없이 ‘쉬었음’이라고 답한 청년이 50만명에 달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통계청의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15~29세 청년층의 ‘쉬었음’ 인구가 49만 7000명으로 집계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일할 능력이 없거나 의사가 없어 노동을 공급하지 못하는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을 뜻한다. 육아, 가사, 재학·수강, 연로, 심신장애 등을 이유로 취업하지 못한 사람이 해당되며 구직 활동을 하는 미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통계청은 이 ‘쉬었음’의 이유를 매년 1회 조사한다. 지난해 8월 조사 결과를 보면 ‘몸이 좋지 않아서’(39.4%)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원하는 일자리·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18.1%),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7.3%), 일자리·일거리가 없어서(7.8%), 다음 일 준비를 위해 쉬고 있음(7.1%), 일의 완료·고용계약 만료(3.4%), 직장의 휴·폐업으로 쉬고 있음(3.0%), 기타(3.8%) 순이었다.
하지만 이는 ‘쉬었음’ 인구의 43.6%를 차지하는 60세 이상이 포함된 전 연령 조사 결과이기 때문에, 청년층만 놓고 보면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가 가장 응답률이 높을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추측이다.
한편 지난달 전 연령대 ‘쉬었음’ 인구도 263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16만 5000명 늘었다. 이 역시 통계 작성 이래 2월 기준으로 가장 큰 규모다.
2023-03-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