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 이후 3주 만에 실무급 협의
대선 전 마지막… “美 요구 파악”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상호관세와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 문제를 논의할 두 번째 국장급 실무 협의가 2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다.2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 등 정부 합동대표단은 2차 기술 협의를 위해 이날 워싱턴DC로 출국했다. 대표단은 미 무역대표부(USTR) 실무진과 관세 관련 논의를 이어 간다. 지난 1일 1차 협의 이후 3주 만에 개최되는 실무급 만남이다. 지난 16일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는 제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회의에서 만나 6개 분야에 대해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한미가 합의한 6개 분야는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 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등이다.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금지 조치 등 지난달 USTR이 무역장벽보고서(NTE)에 적시한 한국에 대한 불만 사항들이 대거 포함될 전망이다.
5명 안팎의 산업부 관계자로 꾸려졌던 1차 대표단과 달리 이번에는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실무자급을 포함해 15명 내외로 늘렸다.
이번 협의는 6월 3일 대선 전 마지막 대면 협의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한국이 줄 수 있는 카드를 전달하고 미국의 요구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새 정부가 들어서면 구체적인 의제를 놓고 팽팽한 줄다리기 협상이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5-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