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 뉴스1
중국 정부가 외국계 기업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겠다고 나서면서 8년째 이어지는 ‘한한령’(한류 제한령) 해제에 대한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수혜가 예상되는 화장품, 여행, 엔터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보였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한한령 해제로 수혜가 기대되는 대표 업종은 화장품이다. 아모레퍼시픽은 한류 인기로 중국 사업에 집중해 왔으나 2016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한한령의 직격탄을 맞았다. 2017년 아모레퍼시픽 영업이익은 약 30% 줄었다. 이후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 유럽 등으로 시장 다변화를 해 왔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한한령 해제를 통해 뷰티업계의 마케팅이 활발해질 수 있다”면서도 “바로 중국 사업 확대로 이어지긴 조심스럽다”고 했다.
여행업계도 긍정적이다. 2016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800만명을 넘었으나 2017년 420만명으로 반토막이 났고 코로나19 여파로 더 줄었다가 지난해 460만명을 회복했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장기 불황의 늪에 빠진 면세업계도 활기를 찾을 가능성이 높다.
식품업계도 기대감을 나타냈다. 중국 내 한국 콘텐츠가 활발하게 확산하면 한국 문화와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에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의 주가는 전장 대비 각각 5.17%, 6.18% 올랐다. 하나투어(1.24%), 모두투어(4.59%)를 비롯한 여행주와 SM(5.08%), YG엔터테인먼트(13.16%) 등 주요 연예기획사 주가도 일제히 상승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