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신용평가사가 처음으로 가상화폐 신용등급을 매긴 것에 대해 국내 투자자들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초의 가상화폐로 코인판에서 ‘기축 통화’로 대접받던 비트코인의 신용등급이 C+에 그친 것은 의외라는 지적이 나온다.
비트코인 이미지 픽사베이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비트코인 이미지 픽사베이
25일 오전 9시 기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전날 미국의 신용평가사 와이스 레이팅스가 발표한 가상화폐 신용등급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등급을 받은 대안코인 거래가 활발한 상황이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5단계로 가상화폐 신용등급을 나눠 매겼다. ‘A’는 엑설런트, ‘B’는 굿, ‘C’는 페어(보통), ‘D’는 위크(약함), ‘E’는 베리 위크(매우 약함)이라는 뜻이다. 74개 가상화폐에 대한 이번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A와 최하등급인 E는 나오지 않았다.
이더리움(ETH)과 이오스(EOS)의 등급이 B로 가장 높았다. 이더리움은 업비트 거래소에서 전날 종가보다 1.39% 하락한 124만원대에서 거래되고 있으나 한때 126만원까지 오르는 등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이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신평 등급 B-를 받은 3위 그룹에 속한 에이다(ADA)는 전날보다 0.67%오른 75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등급의 스팀(STEEM), 네오(NEO)도 최근 1~2주와 비교하면 상승세를 타고 있다.
대세 코인인 비트코인과 리플코인 투자자들은 해당 코인 등급이 각각 C+와 C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자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와이스 레이팅스는 “비트코인과 리플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면서 “충분히 이해한다. 그러나 투자자들의 위험을 줄이고 잠재적 가치가 있는 투자종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 우리의 기본 목표를 오해하지 말길 바란다”고 말했다.
와이스 레이팅스는 “비트코인은 펀더멘털로는 A를 받을만 하지만 반복되는 가격 급등락 때문에 리스크지수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