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반도체 생산현장 모습.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제공
삼성은 지난 8일 신규투자 확대, 청년일자리 창출, 미래성장사업 육성, 개방형 혁신 생태계 조성, 상생협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경제활성화·일자리창출 방안을 마련해 발표했다. 특히 130조원을 국내에 투입해 70만명에 달하는 직간접 고용 유발 효과를 낼 계획이다.
삼성의 투자는 신성장 산업에 집중된다. 인공지능(AI), 5G, 바이오, 반도체 중심 전장부품 등 4대 미래 성장사업으로 선정한 분야에만 약 25조원이 들어간다. 삼성은 한국 AI센터를 허브로 글로벌 연구 거점에 1000명의 인재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대규모 투자와 고용 외에 삼성은 혁신 역량과 노하우를 개방·공유함으로써 이른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기로 했다. 5년간 청년 취업준비생 1만명에게 소프트웨어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500개 스타트업 과제를 지원한다.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인 ‘씨랩(C-Lab) 인사이드’를 확대해 200개 과제의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삼성은 ‘공존공영’의 경영이념에 따라 지속해 온 중소기업과의 상생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공동으로 5년간 1100억원을 조성해 중소기업 2500개사의 스마트공장 전환과 국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1만 5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을 3차 협력사까지 확대하기 위해 총 7000억원 규모의 3차 협력사 전용펀드를 추가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8-28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