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2에서 혁신상 수상
첨단기술로 즐기는 홈가드닝


아파트에서 가꾸는 나만의 정원
식물생활가전 ‘LG틔운’으로 키운 메리골드(왼쪽부터) 비올라, 촛불맨드라미. 박성국 기자
한국인이라면 모두가 알 만한 익숙한 멜로디가 집안의 어디에선가 흘러나왔다. 직관적으로 ‘물 보충’을 알리는 신호음임을 알아차렸다. 체험을 위해 LG전자 측으로부터 빌린 식물생활가전 ‘틔운’이 내는 소리였다. 지난 7일(현지시간) 폐막한 세계 최대 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 ‘CES 2022’가 혁신상을 수여하며 주목한 틔운을 4주가량 사용하면서 식물생활이 주는 즐거움과 행복을 맛볼 수 있었다.
제품의 외관은 가정용 와인셀러와 비슷했다. 폭 60㎝, 높이 81.5㎝로, 다소 큰 느낌도 들었지만 깔끔한 디자인과 통유리로 마감된 전면부는 집안 어느 곳에 놓아도 잘 어울렸다.
상하로 분리된 2개의 슬라이딩 재배 선반에서는 총 6종의 식물을 키울 수 있다. LG전자는 틔운 전용 씨앗키트를 판매하고 있는데, 통상 수확에 4주가 걸리는 ‘청경채·케일·로메인’ 잎채소류 씨앗키트를 받아 재배했다. 윗칸에는 촛불맨드라미와 비올라, 메리골드를 배치했다.
‘죽이기가 더 어렵다’는 스투키 등 다육식물도 제대로 키우지 못한 ‘연쇄제초손’이지만 현대 과학과 LG의 기술력은 실로 놀라웠다. 씨앗키트 포장을 뜯어 상하부 틀에 맞춰 올려 주고, 제품 하단 물탱크를 앞으로 당겨 급수통에 표시된 선까지 물을 붓고 문을 닫으면 끝이다. 그 이후부터는 틔운이 알려 주는 대로 약 1주일에 한 번씩 물만 보충하면 됐다.


숨 쉬는 잎사귀
촛불맨드라미 잎사귀 뒷면에 이슬이 맺힌 모습. 박성국 기자
제품에 부착된 LED 조명은 식물 광합성에 필요한 광원 역할을 한다. 아파트 등 가정에서 식물을 키우기 위해 볕이 드는 공간을 찾아 화분 등을 내놔야 했던 번거로움은 물론 일조량 조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케일과 로메인이 자란다~
씨앗 상태로 온 청경채와 케일, 로메인은 쑥쑥 자라 수확 후 요리에 활용했다. 박성국 기자
다만 출고가 149만원이라는 심리적 장벽은 높을 수 있다. LG전자는 이런 시장 분위기를 반영해 5~6년 단위 구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