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도 중진공 이사장
먼저 중소벤처기업의 신사업 전환, 디지털 전환, 좌초 위기 산업군의 노동 전환을 일괄 지원하는 구조혁신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김 이사장은 “800개 기업의 구조혁신 대응 수준 진단을 돕고 1100개 기업에는 사업·디지털·노동 전환 컨설팅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단과 컨설팅을 바탕으로 사업전환 자금 등 맞춤형 정책을 연계 지원하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기존 33개 사업전환 지원센터 중 10곳을 구조혁신지원센터로 개편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탄소중립 생태계 조성을 강화하기 위해 600개 기업을 상대로 탄소중립 수준 진단을 지원하고 보조금과 융자, 인센티브 등 다양한 정책 수단도 연계 지원할 계획이다. 김 이사장은 “탄소중립 자금을 지난해 200억원에서 올해는 1200억원으로 대폭 확대했고, 탄소중립 경영혁신 바우처(이용권) 규모도 172억원으로 늘렸다”고 소개했다.
김 이사장은 또 “비대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자가진단을 통해 1만 5000여곳에 솔루션을 제시하고 ESG 인식 개선을 위해 체크리스트, 경영안내서 등의 콘텐츠를 기업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매출채권을 중진공이 인수해 조기 현금화해 주고 구매 기업에 상환을 청구하는 ‘매출채권 팩토링’ 사업도 중점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