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시럽 소비 많은 나라, 당뇨병도 많아”

“콘시럽 소비 많은 나라, 당뇨병도 많아”

입력 2012-11-28 00:00
수정 2012-11-28 09: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량음료와 각종 가공식품에 감미료로 첨가되는 고과당 콘시럽(HFCS: high-fructose corn syrup) 소비량이 많은 나라일 수록 2형(성인)당뇨병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 의과대학 예방의학과의 마이클 고란(Michael Goran) 박사가 세계 42개국의 콘시럽 소비량과 당뇨병 유병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과 헬스데이 뉴스가 27일 보도했다.

당뇨병 유병률은 콘시럽 소비 상위그룹이 8%로 하위그룹의 6.7%에 비해 2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고란 박사는 밝혔다.

한국은 미국, 헝가리, 슬로바키아, 캐나다, 불가리아, 벨기에, 일본, 멕시코, 아르헨티나와 함께 상위그룹에 끼었다.

콘시럽 소비량 1위는 미국으로 연간 1인당 24.7kg, 그 다음은 헝가리로 20.7kg로 나타났다.

하위그룹에는 영국, 호주, 중국, 프랑스, 인도, 아일랜드, 이탈리아, 스웨덴, 우루과이 등이 포함됐다. 영국은 1인당 소비량이 0.5kg에 불과했다.

과당은 과일과 꿀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특히 옥수수로 만든 콘시럽은 과당의 함량이 높아 탄산음료, 아이스크림, 빵, 과자, 시리얼 등 많은 가공식품에 첨가되고 있다.

식탁용 설탕인 자당에는 과당과 포도당이 반반씩 들어있다.

이 결과에 대해 미국 옥수수 정제산업협회의 오드리지 에릭슨 회장은 콘시럽과 당뇨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은 아니라고 논평했다.

조사자료를 보면 일본은 멕시코보다 콘시럽 소비량이 많은데 당뇨병 유병률은 멕시코의 절반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 공중보건(Global Public Health)’ 온라인판(11월27일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