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세계경제포럼(WEF)이 평가한 관광산업 국제 경쟁력 순위에서 25위에 자리했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WEF가 세계 14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행 및 관광산업 경쟁력 2013’ 평가 결과, 한국은 2011년 32위에서 7계단 상승한 25위에 올랐다.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6위였다.
세부 분야별로는 여행 및 관광 관련 규제 체계에서 38위, 사업환경과 인프라에서 17위, 인적·자연적·문화적 자원 분야에서 20위에 각각 랭크됐다.
싱가포르(전체 10위), 호주(11위), 뉴질랜드(12위), 일본(14위), 홍콩(15위)은 아시아·태평양 순위 1∼5위를 차지하며 한국보다 앞섰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10위, 전체 45위에 머물렀다.
2011년 대지진을 겪은 일본이 2년 전의 전체 22위에서 8계단 상승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전체 1,2위는 스위스와 독일이 차지했다.
다보스 포럼 주관단체로 잘 알려진 WEF는 각국 정부의 관광 정책, 환경, 안전성, 문화유산 등 총 14개 항목을 평가해 순위를 매겼다.
연합뉴스
7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WEF가 세계 14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행 및 관광산업 경쟁력 2013’ 평가 결과, 한국은 2011년 32위에서 7계단 상승한 25위에 올랐다. 아시아·태평양 국가 중에서는 6위였다.
세부 분야별로는 여행 및 관광 관련 규제 체계에서 38위, 사업환경과 인프라에서 17위, 인적·자연적·문화적 자원 분야에서 20위에 각각 랭크됐다.
싱가포르(전체 10위), 호주(11위), 뉴질랜드(12위), 일본(14위), 홍콩(15위)은 아시아·태평양 순위 1∼5위를 차지하며 한국보다 앞섰다. 중국은 아시아·태평양 10위, 전체 45위에 머물렀다.
2011년 대지진을 겪은 일본이 2년 전의 전체 22위에서 8계단 상승한 것이 눈길을 끌었다.
전체 1,2위는 스위스와 독일이 차지했다.
다보스 포럼 주관단체로 잘 알려진 WEF는 각국 정부의 관광 정책, 환경, 안전성, 문화유산 등 총 14개 항목을 평가해 순위를 매겼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