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탈달러’ 속도…세계 최대 펄프업체 “위안화 결제 검토”

브라질 ‘탈달러’ 속도…세계 최대 펄프업체 “위안화 결제 검토”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3-05-09 13:45
수정 2023-05-09 18: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美 달러화, 원자재시장서 지배력 약화”

이미지 확대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지난달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 환영행사에서 어린이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서울신문 DB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과 지난달 14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 환영행사에서 어린이들의 환호를 받고 있다. 서울신문 DB
세계 최대 펄프 기업인 브라질 스자노가 중국과 거래시 위안화를 사용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블룸버그통신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브라질은 지난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맞춰 “수출입 결제와 금융 거래에서 미 달러화 대신 위안화와 헤알화를 쓴다”고 발표해 위안화 국제화 시도에 힘을 실어준 바 있다.

월터 샬카 스자노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중국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져 일부 고객들이 위안화 결제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원자재 시장에서 미 달러화 지배력이 약해지고 있다는 징후로 받아들여진다고 매체는 평가했다.

중국은 세계 최대 펄프 구매국으로 스자노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원자재 시장에서 미 달러화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지만 최근 중국과의 구매 계약에서 위안화 사용이 크게 늘고 있다. 이 추세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서구세계의 경제 제재를 받으면서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베이징이 ‘미국의 전면 경제 봉쇄’라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위안화를 국제 통화로 만들고자 힘을 쏟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샬카 CEO는 “미 달러화의 거래 비중이 줄고 있지만 그렇다고 중국 위안화로 ‘획기적 전환’이 일어난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 중국이 세계 시장에서 더욱 중요해지리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동서양(미국과 중국)이 협력하는 것이 훨씬 좋겠지만 현재 상황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과 브라질은 달러 결제망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 대신 중국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국경간위안화지급시스템(CIPS)을 이용한 거래를 늘리기로 했다. 대표적 반미주의자인 룰라 대통령은 지난달 방중 기간에 “매일 밤 나는 ‘왜 모든 국가들은 미 달러화에 기반해 무역을 해야 하는가’를 자문한다”며 “왜 우리는 자국 통화에 기반한 무역을 할 수 없는가. 금본위제가 사라진 뒤 달러를 기축통화로 결정한 이는 누구였나”라고 일갈하며 워싱턴의 ‘달러 패권’을 저격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