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도, 덴마크도 싫다”… 독립 꿈꾸는 그린란드

“美도, 덴마크도 싫다”… 독립 꿈꾸는 그린란드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5-03-10 00:46
수정 2025-03-10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1일 총선… 이누이트족 선택 주목

주민 85% 미국 편입 반대 목소리
지난달에 덴마크 착취 다큐 공개도
총리 “우리의 미래는 우리가 결정”
이미지 확대


11일 치러지는 그린란드 총선에서 5만 7000명 이누이트족이 완전한 독립을 선택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첫 번째 임기인 2019년부터 그린란드 매입을 주장했고 올해 1월 새로 취임하자마자 이를 다시 제안했다. 이번 총선 결과에 따라 4만명 유권자가 뽑는 31명의 의원이 거대한 지정학적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지난 5일 무테 에게데 그린란드 총리는 페이스북에 올린 성명에서 “우리는 미국인도, 덴마크인도 되고 싶지 않다. 미국인과 그들의 지도자들은 이 점을 알아야 한다”고 일갈했다.

에게데 총리는 “그린란드는 우리의 것이다. 강제로 빼앗거나 살 수 없다”며 “우리의 미래는 우리가 결정한다”고 강조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의회 연설에서 그린란드 주민들을 향해 “여러분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할 권리를 강력히 지지한다”며 “여러분이 원하면 미국에 오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은 여러분을 안전하게 지켜 주고 부유하게 만들어 드리겠다”며 “여러분과 함께 그린란드를 지금까지 상상도 못 했던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미국은 1950년대부터 그린란드 북서쪽에 비두피크 우주군 기지를 운영하면서 러시아를 견제했다. 안보 문제 외에도 그린란드에 매장된 원유, 가스, 금, 희토류 등 풍부한 천연자원을 탐내는 사람이 많다. 기후변화로 땅이 녹아 지하자원 채굴이 쉬워졌고 북극항로까지 새로 열리면서 그린란드의 지정학적 가치는 더욱 치솟았다.

로이터통신 현지 인터뷰에 따르면 주민들은 덴마크뿐 아니라 미국으로부터의 독립도 원했다. 지난 1월 말 트럼프 대통령 장남 트럼프 주니어의 방문 직후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그린란드 주민 85%는 미국 편입을 반대했다.

지난 2월에는 덴마크가 이누이트 여성을 강제 피임시키고 빙정석 광산 수익을 주민들에게 돌려주지 않았다는 내용의 다큐멘터리가 공개돼 논란을 낳았다. 에게데 총리는 시사회에서 “그린란드는 그간 덴마크에 받은 돈을 고마워해야 한다는 견해에 대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최진혁 서울시의원 “공항동 주민과 함께 이뤄낸 결실…공항동 모아주택 심의 통과 환영“

공항동 55-327번지 일대에 1800여 세대 신규 주택이 들어서게 되면서, 지역 내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정비 사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최진혁 의원(국민의힘, 강서구 제3선거구)은 강서구 공항동 55-327번지 일대의 모아주택 관리계획이 10일 서울시 제6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통합심의를 통과한 관리계획은 9만 6637㎡에 이르는 공항동 저층주거지를 대상으로 하며, 총 5개소의 모아주택 사업을 통해 총 1878세대(임대 258세대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대상지는 과거 공항 이주단지로 형성된 지역으로, 고도제한 등 개발에 제약이 많았으나 이번 계획을 통해 개선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관리계획에는 ▲용도지역 상향 조정(제2종(7층 이하)→제3종일반주거지역) ▲정비기반시설 확충 ▲디자인 가이드라인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특히 용도지역 상향에 따른 교통량 증가 대응을 위해, 송정로4길, 남부순환로11가길, 방화대로7길 등 기존 도로의 확장과 함께 방화대로와의 연결도로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어린이집, 경로당, 공원·주차장 입체복합시설 등 생활밀착형 복지시설도 함께 조성될 예정이다.
thumbnail - 최진혁 서울시의원 “공항동 주민과 함께 이뤄낸 결실…공항동 모아주택 심의 통과 환영“

그린란드 독립 지지 정당의 쿠파누크 올센(39)은 로이터에 “이제 우리는 덴마크에 계속 머무를지, 미국에 속한 국가가 돼야 할지, 아니면 독립해 홀로서기를 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5-03-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