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란 알자흐라 대학병원 의료진이 공개한 23세 남성의 ‘머리떨굼증후군’ 사례. 마약 장기 사용으로 목이 90도로 꺾인 충격적인 모습이 담겼다.
이란의 한 20대 남성이 마약 중독으로 목이 90도로 심하게 구부러지는 ‘머리떨굼증후군’에 걸렸다.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마약을 복용해 목 근육이 극도로 약해진 결과, 머리를 지탱할 수조차 없게된 희귀한 사례다.
14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이란 이스파한에 위치한 알자흐라 대학병원 의료진은 수년 간에 걸쳐 마약을 과다하게 사용한 결과 목이 극도로 구부러진 23세 남성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 남성은 마약의 부작용으로 척추가 굽어졌으며 결국 목마저 머리를 지탱할 수 없는 지경이 됐다. ‘머리떨굼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이 증상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같은 신경근육 질환과 관련이 있는데 마약 남용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환자는 턱이 장시간 가슴까지 떨어지는 증상을 경험했으며, 만성적인 목 통증과 함께 팔 저림, 마비, 따끔거림 같은 감각 이상을 경험했다.
이 남성은 15개월 이상 이러한 증상으로 고통을 겪었는데 뇌신경·근력·자율신경계 등 각종 검사에서는 모두 정상으로 나왔다. 다만 영상단층촬영(CT) 스캔 결과에서는 척추가 심각하게 변형된 것으로 확인됐다.
환자는 이전에 목을 다친 이력은 없었다. 다만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암페타민과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한 전력이 있었으며, 헤로인 등 마약 사용 이력이 확인됐다. 의료진은 마약 중독 이전에는 이 환자의 목에 어떠한 기형도 없었다고 언급했다.
이 사례를 공동 연구한 마지드 레즈바니 박사는 “마약이 근골격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러나 마약 투약 시 오랜 시간 동안 특정 자세를 유지하면 몇 달에 걸쳐 근골격계 변화를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의료진은 환자의 목을 교정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수술을 진행했다. 목을 정상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의료진은 변형된 뼈를 제거하고 지지대를 척추에 고정했다.
수술은 성공적이었다. 신경학적 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환자의 팔다리 힘도 모두 회복됐다. 수술 다음 날 환자는 경추 보호대 지지를 받으며 걸을 수 있었고, 이 보호대는 3개월 동안 착용했다.
수술 후 환자는 치료와 재활에 참가했다. 이를 통해 약물 중독도 이겨낼 수 있었다. 의사들은 척추 교정이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