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하원 6명 “유산위원회, 日 노예노동 인정하게 해야” 공개 서한

美 하원 6명 “유산위원회, 日 노예노동 인정하게 해야” 공개 서한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07-06 10:03
수정 2015-07-06 10: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혼다·깁슨·타카노 등 지한파 의원들

일본 산업혁명시설에 대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의 세계유산 등재 결정에 앞서 미국 연방 하원의원들이 이를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섰다. 미국 내 일본 문제 전문가와 미 전쟁 포로들도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마이크 혼다 의원
마이크 혼다 의원
마이크 혼다(민주·사진) 의원을 비롯한 미 하원의원 6명은 지난 3일(현지시간) 마리아 뵈머 세계유산위원회 의장 앞으로 연명서한을 보내 왜곡된 세계유산 등재에 대한 반대 뜻을 밝히면서 세계유산위가 일본 정부에 등재 신청을 수정하도록 공식 요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명서한에는 혼다 의원 외에 크리스 깁슨(공화), 마크 다카노(민주), 짐 맥거번(민주), 대럴 아이사(공화), 찰스 랭걸(민주) 의원 등 민주·공화 양당에서 초당적으로 참여했다.

이들 의원은 서한에서 “일본의 이번 등재 신청에는 2차대전 당시 연합국 전쟁 포로의 역사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일본군이 전쟁 포로를 노예 노동자로 사용했다’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한 해당 시설의 설명은 불안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원들은 “일본이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8개 지역 중 5개 지역에 26개의 전쟁포로수용소가 있었다”며 “전쟁 포로들이 미쓰이, 미쓰비시, 스미토모, 아소그룹, 도카이 카본, 우베흥산, 신일본제철, 일본석유엔지니어링, 스미토모제철, 후루가와그룹, 덴카 등 일본의 거대 산업체에 노예 노동을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이 특히 92대 일본 총리를 지낸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 가문의 소유인 아소그룹까지 공개로 거명한 데는 일본 정부에 보내는 암묵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앞서 2차대전 당시 일본군에 붙잡혔던 미 전쟁 포로 출신들도 세계유산위에 서한을 보내 전쟁 포로 기술 없는 유산 등재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