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바게트’ 어디 없나요

‘파리 바게트’ 어디 없나요

김규환 기자
입력 2015-08-23 23:58
수정 2015-08-24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노동시장 규제 풀려 바게트 장인 휴가 떠나 빵집 ‘불랑제리’ 3분의2 문 닫아 공급 부족

프랑스 파리 시민들이 주식인 바게트를 못 구해 아우성이다. 반세기 만에 여름휴가에 대한 규제가 풀린 바게트 장인들이 한꺼번에 휴가를 떠나버리는 바람에 품귀 현상이 빚어졌다.

2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파리시 당국은 최근 경기부양과 노동부문 규제완화 차원에서 바게트 장인들이 운영하는 빵집인 ‘불랑제리’의 여름휴가에 대한 규제를 철폐했다. 이에 따라 파리시 불랑제리는 7~8월 중 아무 때나 기간에 관계없이 문을 닫을 수 있게 됐는데, 바게트 장인들이 8월에 집중적으로 휴가를 떠나면서 파리 시내에 바게트 공급 부족 사태를 가져왔다.

프랑스는 그동안 장인들이 만들어 파는 바게트를 ‘공공재’로 여겨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이들이 쉬는 날을 미리 공표해 왔다. 더군다나 1986년까지는 바게트의 규격은 물론 가격까지도 법으로 정했다. 이번 불랑제리 여름휴가 규제 완화 조치는 성장 촉진을 위한 노동개혁의 하나로 취해졌다.

파리 빵집 전문 블로그인 ‘팽리지엔’ 설립자인 레미 엘루엥은 “파리 시민들이 말도 안 되는 상황에 직면했다”면서 “많은 불랑제리가 동시에 문을 닫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파리의 불랑제리 가운데 3분의2가 이달에 문을 닫았다고 추산했다. 파리시민 오드 디부는 “(바게트 사기가) 더 어렵다”며 “슈퍼마켓에서 빵을 많이 사는데 이건 진짜 빵이 아니다”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하지만 불랑제리 측은 휴가철 손님이 많지 않은 탓에 반기는 입장이다. 스티븐 캐플런 미국 코넬대 교수는 “정치적 합법성은 시민들의 먹는 문제에서 비롯되는데 프랑스에서는 빵의 공급을 보장하는 것이 일종의 상징 같은 일”이라고 말했다. 바게트 공급난이 자칫 정치적 불만을 촉발할 수 있다는 얘기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08-2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