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최초 여성총리 대처의 삶과 정치

영국 최초 여성총리 대처의 삶과 정치

입력 2013-02-28 00:00
수정 2013-02-28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KBS1 1일 밤 ‘철의 여인’

3·1절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과는 무관하지만, 따끈따끈한 신작영화를 TV에서 볼 수 있는 건 나쁘지 않다. ‘연기의 신’ 메릴 스트립(64)이 주연한 ‘철의 여인’(KBS 1TV·1일밤 12시 20분)쯤 된다면 말이다. 아카데미 사상 최다인 16번의 주·조연상 후보에 오른 스트립에게 ‘소피의 선택’(1982)에 이어 두 번째 여우주연상을 안긴 작품이다.

이미지 확대
메릴 스트립은 힐러리 스웽크와 더불어 생존 배우 중 두번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유이한 배우다. KBS 제공
메릴 스트립은 힐러리 스웽크와 더불어 생존 배우 중 두번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유이한 배우다.
KBS 제공
스물여섯의 야심만만한 영국 명문 옥스퍼드대 졸업생 마가릿은 세상을 바꿔보겠다는 부푼 꿈을 안고 지방의회 선거에 나가지만 낙선한다. 그녀를 눈여겨 본 사업가 데니스는 평생의 후원자가 되기로 약속한다. 남편의 전폭적 지지 속에 마가릿은 꿈에 그리던 의회 입성에 성공한다. 모두가 불가능하리라 여겼던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로 선출된다.

뮤지컬과 영화 ‘맘마미아’로 주목받은 필리다 로이드 감독이 스트립과 손잡고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과 더불어 1980년대를 보수 색채로 물들인 대처의 삶을 영화화했다. 생존인물을 영화로 만드는 건 위험요인일 터. 역사적 판단이 끝나지 않은 채 논란이 진행형인 대처라면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감독은 정치적 공과보다는 여성 총리로 견뎌야 했던 인간적 고뇌에 초점을 맞췄다. 그러나 가치판단을 배제한 채 대처의 족적을 훑을 요량이라면 굳이 영화로 만든 까닭이 의심스럽다. 이용철 영화평론가는 “영국을 계급적, 지역적으로 양분시킨 인물을 다루면서도 영화는 한 번도 민중 쪽으로 시선을 옮기는 법이 없으며, 대처와 죽은 남편의 허망한 관계에 필요 이상 집착한다. 현실이 엄연한데 유령에 연연하는 꼴”이라고 평했다. 그럼에도 눈길이 가는 건 대처와 오롯이 하나가 된 스트립의 연기 때문이다. 지난해 제84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과 분장상은 논쟁적 영화에서 고군분투한 스트립에 대한 보상이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2013-02-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