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블랙리스트 사태에 연루됐던 전직 문체부 관료를 문체부 산하 법인인 국립문화공간재단 초대 대표로 임명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재직 당시 우상일 대표의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014년 문화체육관광부 재직 당시 우상일 대표의 모습. 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에 따르면 유 장관은 대선 전인 지난달 초 국립문화공간재단 초대 대표에 우상일 전 문체부 예술국장을 임명했다. 국립문화공간재단은 내년 개관 예정인 당인리 문화 창작발전소 등 국립문화예술시설 운영·관리를 목적으로 문체부에서 설립한 비영리법인이다.
우 대표는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 당시 조윤선 문체부 장관에게 블랙리스트가 있다고 보고한 인물이다. 또 우 대표는 2014년 국회 교육문화위원회 회의에서는 ‘여야 싸움으로 몰고 가야’라고 쓴 메모를 김종 전 차관에게 전달했다가 발각돼 징계를 받기도 했다.
임명을 두고 논란이 일자 문체부 관계자는 “재단 정관에 따라 장관이 대표를 지난달 임명했다”며 “모든 기관이나 단체가 임명안을 발표하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문화연대는 우 대표의 선임 사실이 알려지자, 성명을 내고 “임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문화연대는 우 대표의 선임에 대해 “블랙리스트 피해 예술인에 대한 명백한 2차 가해이며, 블랙리스트 사태의 책임을 무마하려는 정치적 기획 인사”라며 “특히 이번 인사는 21대 대선을 불과 한 달 앞두고 단행된 전형적인 ‘알박기 인사’로 검열 정권의 유산을 노골적으로 이어가려는 의도가 분명하다”고 비판했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