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이 26일 발간한 ‘2020 잡지산업 실태조사’의 1개사 평균 매출액 추이. 언론재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6일 발간한 ‘2020 잡지산업 실태조사’의 1개사 평균 매출액 추이. 언론재단 제공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잡지 업계의 위축이 가속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6일 발간한 ‘2020 잡지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잡지 산업 매출액은 총 7775억원으로 2017년 조사보다 24.9% 감소했다. 2012년 1조 8625억원에서 2015년 1조 3754억원, 2017년 1조 354억원으로 꾸준히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4억 3800만원으로 2012년 12억 5900만원과 비교하면 3분의1 수준이다.
업계 불황에 따라 직원들도 떠나면서 종사자도 9104명으로 1만명 아래로 내려섰다. 2017년 1만 2154명보다 25.1% 감소했고, 2012년의 1만 7748명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에 그친다.
발행잡지의 휴간에 대해서도 응답 사업체의 8.5%가 경험이 있다고 답해 2017년 2.6%보다 3배 이상 늘었다. 휴간 이유로는 재정 악화가 45.4%로 가장 높았으며 내부사정(32.4%), 독자 감소·판매 부진(9.3%), 인력 부족(5.6%) 순이었다.
온라인 서비스는 45.2%가 실시 중이라고 답했다. “현재는 실시하지 않지만 향후 온라인 서비스 계획이 있다”는 응답은 20.7%로, 이유로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변화 대응(71.8%) ▲오프라인 잡지 독자 감소(11.8%) ▲신규 수입원 창출(6.1%) ▲오프라인 제작비 절감(5.3%)을 꼽았다.
1인 또는 독립 발행 형태로 잡지를 발행하는 사업체는 전체의 10.8%로 언론사에서 잡지를 함께 발행하는 경우(7.8%)보다 비중이 높았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