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널목 앞 장수의자, 어린이 안전 태그… 일상 감싸는 ‘디자인 한마당’

건널목 앞 장수의자, 어린이 안전 태그… 일상 감싸는 ‘디자인 한마당’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10-04 17:36
수정 2022-10-05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개막
문화역서울284·성수동 등 80곳
사회 문제 해법·품격 있는 삶 제시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는 노약자의 불편함을 덜어 주는 ‘장수의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는 노약자의 불편함을 덜어 주는 ‘장수의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태양이 작열하는 여름과 추운 겨울, 노약자들이 횡단보도에서 신호등을 기다리기는 쉽지 않다. 그래서 신호등 기둥에 기대고 서 있는 이들도 종종 볼 수 있다. 이를 딱하게 여긴 경기도 남양주의 한 경찰관은 신호등 기둥에 대기 시간 잠깐 앉아 있을 수 있는 ‘장수 의자’ 아이디어를 냈다.

어린아이들은 키가 작고 돌발 상황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멀리서도 파악하기 쉬운 색깔의 가방을 메거나 옷을 입고 있는 것이 좋다. 하지만 항상 밝은색 옷만 입을 수는 없는 일. 그래서 나온 것이 가방에 달 수 있는 노란색 보행 안전 태그라는 공공디자인이다.
이미지 확대
아이들의 교통 안전을 지켜 주는 노란색 보행 안전 태그 등 공공디자인은 우리 사회를 더 안전하고 풍요롭게 만든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아이들의 교통 안전을 지켜 주는 노란색 보행 안전 태그 등 공공디자인은 우리 사회를 더 안전하고 풍요롭게 만든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일반인들은 디자인이라고 하면 전문가들이나 하는 것, 그중에서도 공공디자인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는 계도성 설치물 정도로만 생각한다. 그러나 공공디자인은 사회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 모두가 안전하고 품격 있는 삶을 누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공공디자인의 의미를 생각할 수 있는 축제가 10월 한 달 동안 열린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서울 중구 문화역서울284와 성동구 성수동 문화공간을 비롯해 전국 80곳에서 ‘무한상상, ○○(공공)디자인’이란 주제로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2’를 연다.

4일 페스티벌에 앞서 문화역서울284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개된 ‘서로서로 놀이터’, ‘공공의 정원’, ‘기후위기 대응 매뉴얼’ 등의 전시물들을 보다 보면 “이런 것도 디자인이었어” 또는 “이런 디자인도 미술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까”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문화역서울284에서는 ‘길·몸·삶·터’라는 제목으로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유용한 디자인을 다양하게 선보인다.

주제전시 총괄감독을 맡은 안병학 홍익대 교수는 “디자인이라고 하면 일상과 떨어져 있는 것으로 여기기 쉽지만 이번 공공디자인 페스티벌은 그런 생각을 버리고 새로운 발상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라며 “주제 제목인 ‘길·몸·삶·터’ 역시 영어로 달아야 멋있을 것 같지만 이질적이지 않은 우리 일상의 디자인과 콘텍스트를 보여 주고 싶어 우리말을 사용했다”고 말했다.

전시 행사는 이달 30일까지 열리며 지역별 행사 장소는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누리집(publicdesign.kr/festival)을 참고하면 된다.



 
2022-10-0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