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 36%… 선천성이상아 진료비 6년새 70%↑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 36%… 선천성이상아 진료비 6년새 70%↑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5-10-14 06:48
수정 2025-10-14 06: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임신부 자료사진. 픽사베이
임신부 자료사진. 픽사베이


우리나라의 산모 10명 중 4명은 35세 이상이며, 미숙아와 선천성이상아 출생에 따른 진료비는 6년 새 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출산 연령은 2016년 32.4세에서 지난해 33.7세로 8년 새 1.3세 높아졌다. 같은 기간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26.4%에서 35.9%로 9.5%포인트 늘었다.

쌍둥이 이상을 칭하는 다태아가 전체 출생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이 기간 3.9%에서 5.7%로 증가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고령 산모로 기준으로 삼는 35세 이상 산모 비중이 커지는 가운데 임신 기간 37주 미만에 태어나거나 출생 당시 체중이 2.5㎏ 미만인 미숙아(조산아·저체중아)와 출생 후 2년 이내 선천성 이상으로 진단받은 선천성이상아 진료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미숙아 진료비는 2018년 1846억원에서 지난해 2649억원으로 6년간 44% 늘었다. 같은 기간 선천성이상아 진료비는 3071억원에서 5236억원으로 70% 증가했다.



김미애 의원은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것은 사회 변화의 자연스러운 결과이므로, 연령과 관계없이 모든 산모가 안전하고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지역별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 확충, 산전·산후 건강관리 지원 강화, 지방 분만 인프라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