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 들어가는 순간 아이들은 ‘해야 하는 것투성이’인 세계로 들어선다. 수업 시간 엉덩이가 들썩여도 책상 앞에 붙박이여야 하고, 놀이터에서 놀고 싶어도 학원엔 가야 한다. 또 처음 경험하는 학교에서 생겨나는 ‘사소하지만 사소하지 않은 이유들’은 아침이면 학교에 가고 싶지 않은 마음을 스멀스멀 부추기곤 한다.
이때 보통의 엄마, 아빠들은 이유를 듣기도 전에 빗장부터 치기 일쑤다. “안 돼, 학교는 가야지. 무슨 소리야.” 동화는 이렇게 반응하는 부모와 부모의 대응에 마음에 생채기를 입어 본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운동화 끈을 못 매 학교에서 난처했던 봄이는 아침부터 배가 싸하게 아프다. 아이가 찾아간 곳은 주문을 외쳐야 들어갈 수 있는 닥터 별냥의 별난 보건실. 봄이에게 ‘학교 가기 싫어 병’이란 진단을 내린 닥터 별냥은 “사실은 학교에 가기 싫은 게 아니라 뭐든 스스로 잘하는 아이가 되고 싶다”는 봄이의 ‘진심’을 읽어 낸다. 그러고는 “더, 더, 더 잘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처방전과 함께 특별한 처방을 내린다. 닥터 별냥은 고민으로 마음 한쪽이 멍든 아이들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문제가 풀릴 수 있다는 단순하지만 진귀한 깨달음을 건넨다.
작가는 “예전엔 ‘더 나은 고양이’가 되려고 무척이나 애를 썼지만 지금은 ‘스스로를 잘 돌보는 고양이’가 되려고 애쓴다”며 “왠지 나만 못난 고양이 같아 우울하고 절망적일 때 스스로를 빛나게 해 줄 마법의 빗을 하나씩 꼭 장만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초등 1~2학년 대상.
정서린 기자
2023-08-1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